Contents
1. 개요 ¶
KBO 퓨처스리그는 KBO 리그의 2군 리그를 가리키는 용어로, 1990 시즌부터 시작했으며, 2010년부터 2군 리그에서 퓨처스리그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어 사용중이다.(2007년에 처음으로 열린 2군 올스타전의 이름을 퓨처스 올스타전이라고 명명했고 2010년에 리그명을 공식적으로 퓨처스리그로 변경했다.)
연고지를 기준으로 3개 리그와 팀을 나눠 2015 시즌 기준으로 각 팀은 총 102경기(동일리그 팀과 18차전, 인터리그 팀과 6차전씩)를 갖는다.
퓨처스리그 경기는 주로 낮경기로 열린다. 9회까지 진행되고 9회까지 승부를 가리지 못하면 연장전 없이 무승부로 처리한다. 1군과 달리, 우천순연으로 다소 경기가 많이 취소된 경우 스케줄에 여의치 않으면 더블헤더 경기도 진행된다.
2000년대 들어서 북부리그에서는 북부, 남부리그를 통틀어 퓨처스리그 최강팀으로 손꼽히는 상무 피닉스 야구단이 군림해 왔다. 2006년에는 승률 0.806을 기록했을 정도[1]. 그러나 2011시즌, 경찰 야구단에게 1위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반면에 남부리그는 롯데, 삼성, 한화 3팀이 전력이 비슷비슷했다. 넥센 2군이 연고지를 강진으로 옮기며 남부리그로 배속된 이후에도 이렇다할 강팀이 없어 남부리그에서는 순위경쟁이 치열하다. 2군 시설이 부실했던 KIA는 2000년대에는 주로 하위권에 머물렀으나, 2군 시설이 본격적으로 개선되기 시작한 2012년대부터 점차 전력이 향상되기 시작.
2.1. 1980년대 ¶
2군 체제는 삼미 슈퍼스타즈가 1983년 7월 6일에 한국프로야구 최초로 2군 팀을 창단하면서 시작되었다.당시 기사 [3] 1984년 삼성 라이온즈에서는 2군을 창설하면서 박창용 전 대구상고 감독을 2군 감독 영입했고, 이듬해에는 은퇴를 결정한 천보성을 2군 코치로 임명하는 것을 시작으로 2군 코치를 따로 둘 정도로 코칭스태프의 수를 늘렸다.[4] 이후 1980년대 말까지 다른 구단에서도 2군을 조직, 운영하게 되었다.
1984년에 OB 베어스와 삼미 슈퍼스타즈 2군끼리 정기전을 갖기로 한것이 2군 리그의 시작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다시 2군 구단 끼리의 교류전이 없이 실업팀 및 대학팀들과 간간히 경기를 가지다 1986년 5월 16일,17에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에서 OB 베어스 2군과 삼성 라이온즈 2군이 경기를 가졌다.##
2군 리그가 시행되기 전에 2군 팀은 주로 대학팀들과 연습경기를 했다. 그러나 선수 부족으로 한 선수가 여러 포지션을 소화하거나, 교체할 선수가 없어 대신 코치가 경기에 나서거나 심지어는 기록원을 교체 출장시키는 등, 프로 2군이라 하기에는 미흡한 면이 많았다. 게다가 1986년에는 그나마 2군을 운영하던 OB 베어스와 삼성 라이온즈가 연습상대를 구하기 힘들고 자금난을 이유로 2군 규모를 축소하기도 했다.## 게다가 이시기에는 2군에 내려가면 "좌천"이라고 생각하고 트레이드나 은퇴를 요구하는 선수들도 있던 시기였기에[5] 2군이 제대로 운영될 턱이 없었고 삼미 슈퍼스타즈의 경우 2군 훈련을 하라고 선수들에게 지시하면 "어차피 야구 인생 끝난거 뭐하러 야구하냐."라며 야구장에 달랑 2명만 훈련하러 나오는 상황을 맞이하기도 했다.
1987년 빙그레 이글스가 창단과 동시에 2군에 참여를 했고, 동해 9월에 MBC 청룡도 2군 창단을 발표하며 2군 정기전에 합류하기로 결정한다. 그러자 해태 타이거즈와 롯데 자이언츠도 2군 창단을 검토하기 시작했으며 삼미 슈퍼스타즈의 뒤를 잇는 태평양 돌핀스도 창단과 동시에 2군 팀을 꾸리기 시작했다. 이러한 움직임에 발맞춰서 한국야구위원회에서도 2군간의 경기를 제도화 하기 시작했고 88년~89년에는 팀당 30경기를 자율적으로 진행하며 1990년 부터는 팀당 60경기를 치르는 2군 리그 창설을 발표했다.기사
2.2. 1990년대 ¶
1990년, 쌍방울 레이더스가 창단되며 KBO에서는 8개구단 양대리그로 2군리그를 진행한다는 확정안을 발표했고, 연고지를 기준으로 북부리그와 남부리그로 4팀씩 나누어 동일리그 소속 팀과는 10경기씩, 다른 리그 소속 팀과는 8경기씩 팀당 총 62경기를 치렀다. 애초에는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북부리그 | LG 트윈스 2군(서울)[6], OB 베어스 2군(이천), 쌍방울 레이더스 1군(전주), 태평양 돌핀스 2군(인천) |
남부리그 | 롯데 자이언츠 2군(부산), 빙그레 이글스 2군 (대전), 삼성 라이온즈 2군(경산), 해태 타이거즈 2군(광주) |
시행 취지는 좋았지만 초창기에는 부진이나 부상으로 2군으로 강등된 1군 선수들이 2군 경기에 출장할 경우에 경기에 소홀히 임하거나 기존 2군 선수들과 융화되지 않는 등의 선수들간의 갈등을 비롯한 문제로 2군 리그 소화에 지장이 있었다.
1991시즌부터 빙그레가 북부리그로, 쌍방울이 남부리그에 배속되었다. 이동거리 등으로 팀의 재정에 부담이 되었는지 1992시즌부터 1996시즌까지는 인터리그 경기 없이 동일리그 소속 팀끼리만 경기를 가졌다.
1997시즌부터는 타 리그 소속 팀과 경기를 4경기 추가해 팀당 총 76경기를 치렀으나 이듬해 1998시즌에는 쌍방울의 재정 악화로 인터리그는 폐지되었다. 또한 쌍방울은 이 시기에 남부리그 팀과 홈 경기만 30경기를 치렀다.
2.3. 2000년대 ¶
2001시즌부터 상무 피닉스 야구단이 2군 리그에 정식으로 참가하며 북부리그에 배속되었다. 이때부터 각 리그의 팀 수가 맞지 않으며 리그마다 치르는 경기수도 달라졌다. 2004시즌에 인터리그 경기가 부활해 어떻게든 양 리그의 경기수는 똑같이 맞추긴 했지만 2006시즌부터 경찰 야구단이 2군 리그에 참가해 북부리그로 배속되며 다시 경기수가 차이났다. 리그간 다른 경기수는 2010시즌 넥센 히어로즈 2군이 연고지를 강진으로 옮기며 해결되었다.
2.4. 2010년대 ¶
2012시즌에는 신생팀 NC 다이노스가 정식으로 참가함과 동시에 독립구단인 고양 원더스와 일본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이 퓨처스리그의 각 팀들과 번외경기를 치른다.[7] 고양 원더스는 퓨처스리그 팀과 총 48경기(북부리그 30경기, 남부리그 18경기)를, 소프트뱅크 3군은 총 18경기(북부리그 6경기, 남부리그 12경기)를 치를 예정. 이 두 팀과의 경기는 공식기록으로 인정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KBO에서 심판위원이나 기록원을 배치하는 등의 지원을 하기로 했다.
2013년에 국군체육부대가 경상북도 문경시으로 이전하면서 상무 피닉스 야구단도 남부리그 소속으로 옮겼다. 그리고 각 리그간 수를 맞추기 위해 남부리그 팀 중 연고지가 제일 북쪽에 있는 한화 이글스 2군이 북부리그로 옮겼다.
더불어 2013년부터 26인 엔트리가 도입되었다. 기존에는 1군 엔트리에 등록되지 않은 모든 선수가 퓨처스 경기에 출전할 수 있었다. 엔트리에서 제외될 경우 10일간 등록이 제한되는 1군과 달리, 퓨처스리그에서는 3일간 등록이 제한된다. 단, 상무와 경찰은 이 규정에서 예외다.
2014년부터 KT 위즈가 참여하면서 다시 각 리그별 팀 수가 맞게 되었다. 넥센 히어로즈 2군은 연고지를 경기도 화성시로 이전하면서 1군과 팀 이름을 구분하여 화성 히어로즈란 이름을 붙였다. 이와 동시에 화성 히어로즈가 북부리그 소속이 되었고 대신 한화 이글스 2군가 1년만에 다시 남부리그로 옮겼다. 또한 고양 원더스와의 교류전이 48경기에서 80경기로 대폭 늘었다. 하지만 고양 원더스가 퓨처스리그 구단으로 인정받지 못하면서 결국 해체 수순을 밟게 되었다.
KBO 소속 구단이 아닌만큼 오히려 퓨처스리그에 교류전 자격으로 참가한다는 것이 큰 혜택을 받는 것도 있지만, 고양 원더스 측에서 한국야구위원회에서 퓨처스리그에 정식으로 참가 할 수 있게 해준다는 조건으로 팀을 창단한 것이라는 주장을 했다. 사실이라면 고양 원더스가 뒤통수를 맞은 셈.[8]
2015년 시즌부터 기존 북부와 남부로 나뉘던 퓨처스리그를 4구단 1리그, 총 3개 리그로 나눈다고 한다. 각 리그 명칭은 옐로우, 레드, 블루로 정해졌는데 KBO의 CI 컬러를 따왔다.
옐로우리그 :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 상무 피닉스, KIA 타이거즈
레드리그 : 한화 이글스, 화성 히어로즈, 고양 다이노스, SK 와이번스
블루리그 : LG 트윈즈, 두산 베어스, 경찰 야구단, kt 위즈
레드리그 : 한화 이글스, 화성 히어로즈, 고양 다이노스, SK 와이번스
블루리그 : LG 트윈즈, 두산 베어스, 경찰 야구단, kt 위즈
3. 참가팀 ¶
KBO 퓨처스리그 참가 구단 | ||||||||
옐로우 리그 경상/전라권 | ![]() [PNG image (4.63 KB)] | 롯데 자이언츠 2군 (Lotte Giants) | ![]() [PNG image (4.93 KB)] | 삼성 라이온즈 2군 (Samsung Lions) | ![]() [PNG image (5.2 KB)] | 상무 피닉스 (Sangmu Phoenix) | ![]() [PNG image (5.28 KB)] | KIA 타이거즈 2군 (KIA Tigers) |
레드 리그 경인/충청권 | ![]() [PNG image (5 KB)] | 고양 다이노스 (Goyang Dinos) | ![]() [PNG image (4.9 KB)] | 한화 이글스 2군 (Hanwha Eagles) | ![]() [PNG image (2.88 KB)] | 화성 히어로즈 (Hwaseong Heroes) | ![]() [PNG image (5.39 KB)] | SK 와이번스 2군 (SK Wyverns) |
블루 리그 서울/경기권 | ![]() [PNG image (5.02 KB)] | 경찰 (Police) | ![]() [PNG image (5.2 KB)] | 두산 베어스 2군 (Doosan Bears) | ![]() [PNG image (3.3 KB)] | kt 위즈 2군 (kt wiz) | ![]() [PNG image (4.5 KB)] | LG 트윈스 2군 (LG Twins) |
번외 팀 | ![]() [PNG image (7.6 KB)] | 후쿠오카 3군 (Fukuoka Softbank) | ||||||
과거 구단 | ※ 과거에 퓨처스리그 참가했던 구단들 보기 ▶ (번외구단 포함) |
3.1. 과거의 팀 ¶
팀명 | 연고지 | 홈구장 | 리그 참가 |
쌍방울 레이더스 2군 | 전라북도 전주시 | 전주 야구장 | 1990~1999 |
현대 유니콘스 2군[9] | 경기도 고양시[10] | 하이닉스 야구장(원당 야구장)[11] | 1990~2007[12] |
고양 원더스(번외 팀) | 경기도 고양시 | 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 | 2011~2014 |
4. 역대 시즌 ¶
- 고양 원더스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과의 경기는 번외경기로 처리되며, 번외팀 기록은 정규시즌 성적에 반영되지 않는다.
- 90년~05년 까지의 기록을 알고 계신 분은 추가바람.
4.7.3. 번외경기 ¶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패 | 무승부 | 승률 | 게임차 |
- | 고양 원더스 | 48 | 20 | 21 | 7 | .488 | - |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16 | 8 | 7 | 1 | .533 | - |
4.8.3. 번외경기 ¶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패 | 무승부 | 승률 | 게임차 |
- | 고양 원더스 | 48 | 37 | 15 | 6 | .643 | - |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17 | 7 | 8 | 2 | .467 | - |
4.9.3. 번외경기 ¶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패 | 무승부 | 승률 | 게임차 |
- | 고양 원더스 | 80 | 43 | 25 | 13 | .632 | - |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19 | 6 | 11 | 2 | .353 | - |
5. 역대 우승팀 ¶
각 리그에서 승률 1위팀이 우승팀이다. 한국시리즈처럼 따로 경기를 치르진 않는다.
연도 | 북부리그 우승팀 | 남부리그 우승팀 |
1990년 | 쌍방울 레이더스[15] | |
1991년 | 태평양 돌핀스 | 해태 타이거즈 |
1992년 | OB 베어스 | 삼성 라이온즈 |
1993년 | LG 트윈스 | 쌍방울 레이더스 |
1994년 | 태평양 돌핀스 | 삼성 라이온즈 |
1995년 | 현대 유니콘스 | |
1996년 | 한화 이글스 | |
1997년 | ||
1998년 | 현대 유니콘스 | |
1999년 | 한화 이글스 | 롯데 자이언츠 |
2000년 | 두산 베어스 | 삼성 라이온즈 |
2001년 | 현대 유니콘스 | 롯데 자이언츠 |
2002년 | 상무 피닉스 야구단 | 한화 이글스 |
2003년 | SK 와이번스 | 롯데 자이언츠 |
2004년 | 상무 피닉스 야구단 | 삼성 라이온즈 |
2005년 | KIA 타이거즈 | |
2006년 | 한화 이글스 | |
2007년 | 롯데 자이언츠 | |
2008년 | ||
2009년 | ||
2010년 | 삼성 라이온즈 | |
2011년 | 경찰 야구단 | 롯데 자이언츠 |
2012년 | 경찰 야구단 상무 피닉스 야구단[16] | NC 다이노스 |
2013년 | 경찰 야구단 | 상무 피닉스 야구단 |
2014년 |
6. 역대 개인 타이틀 수상자 ¶
1995년부터 투수의 경우엔 평균자책점, 승리부문 1위와 타자의 경우엔 타율, 홈런, 타점 각 부문 1위에게 시상을 한다.
연도 | 포지션 | 수상부문 | 북부리그 | 남부리그 |
1991년[17] | 투수 | 평균자책 | 권영일(OB) / 2.36 | 손문곤(쌍방울) / 1.59 |
승리 | 정명진(태평양), 이은승(빙그레) / 6승 | 이상훈(삼성) / 5승 | ||
타자 | 타율 | 주경업(태평양) / 0.382 | 박규대(삼성) / 0.380 | |
홈런 | 김홍기(태평양) / 8개 | 문승훈[18](해태) / 6개 | ||
타점 | 김홍기(태평양) / 21타점 | 박병호(해태) / 23타점 | ||
1992년 | 투수 | 평균자책 | 조웅천(태평양) / 1.93 | 김태석(롯데) / 2.21 |
승리 | 공용우(빙그레), 임규대(빙그레) / 6승 | 김태석(롯데) / 7승 | ||
타자 | 타율 | 백성진(태평양) / 0.368 | 전종진(삼성) / 0.376 | |
홈런 | 길홍규(OB) / 5개 | 이종옥(롯데) / 6개 | ||
타점 | 이전진(OB) / 23타점 | 김형태(쌍방울) / 27타점 | ||
1993년 | 투수 | 평균자책 | 조영상(OB) / 1.68 | 강태원(해태) / 1.36 |
승리 | 조영상(OB), 정성주(LG) / 5승 | 김기덕(쌍방울) / 8승 | ||
타자 | 타율 | 김선우(태평양) / 0.342 | 유영원(쌍방울) / 0.356 | |
홈런 | 김원근·황대영(빙그레), 소상영(OB), 김성기(LG) / 5개 | 이민호(해태), 김정수(쌍방울) / 5개 | ||
타점 | 당신상(LG) / 24타점 | 유영원(쌍방울) / 22타점 | ||
1994년 | 투수 | 평균자책 | 강길용(OB) / 1.11 | 박종철(삼성) / 1.91 |
승리 | 김재성(한화) / 5승 | 최재영(해태), 윤형배(롯데) / 6승 | ||
타자 | 타율 | 계기범(태평양) / 0.363 | 최익성(삼성) / 0.385 | |
홈런 | 이전진, 곽연수(OB) / 5개 | 이동수(삼성) / 5개 | ||
타점 | 공유선(OB) / 23타점 | 이동수(삼성) / 26타점 | ||
1995년[19] | 투수 | 평균자책 | 마원성(OB) / 1.83 | 허삼영(삼성) / 1.99 |
승리 | 김동직(한화), 김기덕(LG) / 8승 | 박진철·최재영(해태) / 6승 | ||
타자 | 타율 | 이보형(OB) / 0.345 | 최찬욱·박규대(삼성) / 0.301 | |
홈런 | 이보형(OB) / 9개 | 김재덕(해태) / 7개 | ||
타점 | 이동우(LG) / 31타점 | 최찬욱(삼성) / 35타점 | ||
1996년 | 투수 | 평균자책 | 나성열(한화) / 1.57 | 최향남(해태) / 1.94 |
승리 | 공용우(한화) / 9승 | 정성훈(삼성) / 9승 | ||
타자 | 타율 | 김대헌(한화) / 0.362 | 김승관(삼성) / 0.399 | |
홈런 | 공의식(현대) / 14개 | 최희창(해태), 이재환(롯데) / 5개 | ||
타점 | 강준기(LG) / 42타점 | 김승관(삼성) / 37타점 | ||
1997년 | 투수 | 평균자책 | 이병재(LG) / 2.33 | 김진철(쌍방울) / 2.84 |
승리 | 공용우(한화) / 11승 | 고재섭(삼성) / 10승 | ||
타자 | 타율 | 장용대(현대) / 0.311 | 김훈(삼성) / 0.372 | |
홈런 | 임노병(LG) / 16개 | 최희창(해태) / 8개 | ||
타점 | 임노병(LG) / 55타점 | 김승관(삼성) / 49타점 | ||
1998년 | 투수 | 평균자책 | 김익재(현대) / 1.60 | 정현욱(삼성) / 2.65 |
승리 | 공용우(한화), 신영균(LG) / 9승 | 박태순(삼성) / 9승 | ||
타자 | 타율 | 임노병(LG) / 0.366 | 김수관(삼성) / 0.352 | |
홈런 | 안재만(LG) / 12개 | 김광현(삼성) / 9개 | ||
타점 | 정기창(한화) / 33타점 | 김광현(삼성) / 44타점 | ||
1999년 | 투수 | 평균자책 | 인현배(LG) / 3.02 | 임봉춘(롯데)/ 2.21 |
승리 | 전하진(한화) / 12승 | 정인석(롯데) / 10승 | ||
타자 | 타율 | 정현택(LG) / 0.418 | 이동욱(롯데) / 0.415 | |
홈런 | 추성건(두산) / 12개 | 김무성·이동욱(롯데), 김승관(삼성) / 8개 | ||
타점 | 박연수(LG) / 45타점 | 김광현(삼성) / 46타점 | ||
2000년 | 투수 | 평균자책 | 박철홍(LG) / 2.00 | 조문식(삼성) / 2.19 |
승리 | 박찬협(두산) / 8승 | 이준호(삼성) / 9승 | ||
타자 | 타율 | 문희성(두산) 0.351 | 조유신(롯데) 0.344 | |
홈런 | 문희성(두산) / 14개 | 조효상·이상현(한화) / 11개 | ||
타점 | 문희성(두산) / 60타점 | 조유신(롯데) / 45타점 | ||
2001년[20] | 투수 | 평균자책 | 신원주(상무) / 1.82 | 정성훈(삼성) / 2.13 |
승리 | 황두성(현대) / 6승 | 박효순(롯데) / 7승 | ||
타자 | 타율 | 황윤성(현대) / 0.369 | 서한규(롯데) / 0.338 | |
홈런 | 강병식(상무) / 9개 | 김상현(KIA) / 13개 | ||
타점 | 황윤성(현대) / 49타점 | 이상현(한화) / 39타점 | ||
2002년 | 투수 | 평균자책 | 김기덕(SK) / 2.17 | 김백만(한화) / 1.29 |
승리 | 김광삼(상무) / 11승 | 정성훈(삼성) / 8승 | ||
타자 | 타율 | 김재구(SK) / 0.354 | 정성열(한화) / 0.318 | |
홈런 | 정원석(상무), 윤형국(SK) / 9개 | 이재주(KIA) / 9개 | ||
타점 | 김재구(SK) / 43타점 | 김승관(삼성) / 32타점 | ||
2003년[21] | 투수 | 평균자책 | 김재현(상무) / 2.11 | 변인재(롯데) / 1.67 |
승리 | 오승준(SK) / 9승 | 김주용(롯데) / 7승 | ||
타자 | 타율 | 최길성(상무) / 0.354 | 김경진(KIA) / 0.388 | |
홈런 | 장익현(상무) / 10개 | 김승관(삼성) / 13개 | ||
타점 | 최길성(상무) / 42타점 | 김승관(삼성) / 45타점 | ||
2004년[22] | 투수 | 평균자책 | 김경태(SK) / 2.33 | 양성제(롯데) / 2.48 |
승리 | 김백만(상무) / 10승 | 김문수(삼성) / 8승 | ||
타자 | 타율 | 박정권(SK) / 0.361 | 박석민(삼성) / 0.345 | |
홈런 | 김재구(상무) / 13개 | 곽용섭(삼성) / 13개 | ||
타점 | 김재구(상무) / 55타점 | 곽용섭(삼성) / 40타점 | ||
2005년[23] | 투수 | 평균자책 | 김선규(SK) / 1.61 | 신주영(한화) / 1.99 |
승리 | 윤성귀(상무) / 11승 | 김주철(KIA) / 9승 | ||
타자 | 타율 | 박정권(상무) / 0.369 | 고지행(한화) / 0.331 | |
홈런 | 최길성(LG) / 13개 | 김승관(롯데) / 8개 | ||
타점 | 유재웅(상무) / 54타점 | 곽용섭(삼성) / 48타점 | ||
2006년[24] | 투수 | 평균자책 | 김문수(상무) / 2.36 | 손상정(KIA) / 1.86 |
승리 | 김대우(상무) / 12승 | 김정환(롯데) / 7승 | ||
타자 | 타율 | 이영수(상무) / 0.401 | 이태호(삼성) / 0.299 | |
홈런 | 김상현(상무) / 23개 | 권희석(KIA) / 12개 | ||
타점 | 김상현(상무) / 70타점 | 모상기(삼성) / 50타점 | ||
2007년[25] | 투수 | 평균자책 | 조태수(상무) / 2.43 | 김백만(한화) / 1.85 |
승리 | 조용원(경찰) / 11승 | 곽동훈(삼성) / 9승 | ||
타자 | 타율 | 최형우(경찰) / 0.391 | 이여상(삼성) / 0.339 | |
홈런 | 최형우·곽용섭(경찰), 박석민(상무) / 22개 | 김승관(롯데) / 12개 | ||
타점 | 최형우(경찰) / 75타점 | 모상기(삼성) / 58타점 | ||
2008년 | 투수 | 평균자책 | 김강률(두산) / 2.74 | 김휘곤(롯데) / 2.07 |
승리 | 오재영(상무) / 11승 | 허준혁(롯데) / 9승 | ||
타자 | 타율 | 이병규(LG) / 0.426 | 이인구(롯데) / 0.361 | |
홈런 | 박병호(상무), 조영훈(경찰) / 24개 | 모상기(삼성) / 12개 | ||
타점 | 박병호(상무) / 74타점 | 김강(한화) / 57타점 | ||
2009년[26] | 투수 | 평균자책 | 김희걸(상무) / 2.19 | 곽동훈(삼성) / 3.46 |
승리 | 장진용(상무) / 10승 | 이우선(삼성) / 9승 | ||
타자 | 타율 | 강명구(상무) / 0.382 | 오장훈(롯데) / 0.313 | |
홈런 | 조영훈(경찰) / 24개 | 오장훈(롯데) / 14개 | ||
타점 | 유한준(상무) / 92타점 | 오장훈(롯데) / 71타점 | ||
2010년[27] | 투수 | 평균자책 | 임준혁(상무) / 2.90 | 이용훈(롯데) / 3.00 |
승리 | 임준혁·장진용(상무) / 15승 | 곽동훈(삼성) / 11승 | ||
타자 | 타율 | 최주환(상무) / 0.382 | 백상원(삼성) / 0.306 | |
홈런 | 최주환(상무) / 24개 | 김강(한화) / 14개 | ||
타점 | 김재환(상무) / 101타점 | 김종호(삼성), 김강(한화) / 61타점 | ||
2011년 | 투수 | 평균자책 | 우규민(경찰) / 2.34 | 이용훈(롯데) / 2.83 |
승리 | 우규민(경찰) / 15승 | 박성훈(넥센) / 13승 | ||
타자 | 타율 | 민병헌(경찰) / 0.373 | 김정혁(삼성) / 0.418 | |
홈런 | 문선재(상무) / 21개 | 모상기(삼성) / 21개 | ||
타점 | 최재훈(경찰) / 79타점 | 모상기(삼성) / 83타점 | ||
2012년[28] | 투수 | 평균자책 | 장원준(경찰) / 2.39 | 이재학(NC) / 1.55 |
승리 | 윤지웅(경찰) / 13승 | 이재학(NC) / 15승 | ||
타자 | 타율 | 정현석(경찰) / 0.368 | 박정준(넥센) / 0.352 | |
홈런 | 김회성(경찰) / 18개 | 나성범(NC) / 16개 | ||
타점 | 이재원(상무[29]) / 76타점 | 나성범(NC) / 67타점 | ||
2013년 | 투수 | 평균자책 | 장원준(경찰) / 2.43 | 변강득(NC) / 2.93 |
승리 | 양훈(경찰) / 11승 | 박종훈(상무) / 13승 | ||
타자 | 타율 | 장성우(경찰) / 0.382 | 강구성(NC) / 0.352 | |
홈런 | 최승준(LG) / 19개 | 안태영(넥센) / 14개 | ||
타점 | 장성우(경찰) / 73타점 | 서상우(상무) / 79타점 | ||
2014년[30] | 투수 | 평균자책 | 장진용(LG) / 3.60 | 고원준(상무) / 3.97 |
승리 | 박세웅(KT), 이형범(경찰) / 9승 | 김상수(상무), 이동걸(한화) / 10승 | ||
타자 | 타율 | 이천웅(경찰) / 0.385 | 구자욱(상무) / 0.357 | |
홈런 | 김사연(KT) / 23개 | 박노민(한화), 조평호(NC) / 11개 | ||
타점 | 유민상(상무) / 75타점 | 정진호(상무) / 64타점 |
7. 기타 기록 ¶
- 퍼펙트 게임
이름 소속 팀 일자 상대 팀 1 이용훈 롯데 자이언츠 2011년 9월 17일 對 한화 이글스전
- 노히트 노런
이름 소속 팀 일자 상대 팀 1 김희걸 SK 와이번스 2001년 8월 9일 對 LG 트윈스 더블헤더 1차전 2 고우석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05년 5월 8일 對 현대 유니콘스전
- 사이클링 히트
퓨처스리그에서는 김재환이 유일하게 2번이나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했다. 안치용은 1군과 2군에서 모두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한 바 있는 유일한 선수다.
이름 소속 팀 일자 상대 팀 1 이동우 LG 트윈스 1995년 6월 7일 對 한화 이글스전 2 안상준 해태 타이거즈 1995년 8월 31일 對 쌍방울 레이더스전 3 김갑중 현대 유니콘스 1996년 8월 7일 對 LG 트윈스전 4 오중석 한화 이글스 1996년 8월 14일 對 OB 베어스 더블헤더 2차전 5 이지환 롯데 자이언츠 1998년 6월 21일 對 해태 타이거즈전 6 장영균 삼성 라이온즈 1999년 8월 5일 對 쌍방울 레이더스 더블헤더 1차전 7 조지현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01년 5월 14일 對 현대 유니콘스전 8 손인호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02년 8월 28일 對 현대 유니콘스전 9 안치용 LG 트윈스 2003년 4월 15일[31] 對 상무 피닉스 야구단전 10 추승우 LG 트윈스 2007년 6월 16일 對 SK 와이번스전 11 이성재 우리 히어로즈 2008년 5월 4일 對 경찰 야구단전 12 김동건 SK 와이번스 2008년 7월 17일 對 우리 히어로즈전 13 이종환 KIA 타이거즈 2009년 9월 16일 對 히어로즈전 14 문선재 LG 트윈스 2010년 4월 16일 對 SK 와이번스전 15 김재환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0년 5월 7일 對 경찰 야구단전 16 김재환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0년 7월 27일 對 SK 와이번스전 17 이경록 삼성 라이온즈 2011년 6월 2일 對 LG 트윈스전 18 최주환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1년 9월 10일 對 SK 와이번스 더블헤더 2차전 19 민병헌 경찰 야구단 2012년 5월 24일 對 SK 와이번스전 20 문선엽 경찰 야구단 2013년 6월 6일 對 LG 트윈스전 21 김사연 KT 위즈 2014년 4월 1일 對 경찰 야구단전
- 20-20 클럽
이름 소속팀 연도 홈런 개수 도루 개수 1 문선재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1 21홈런 20도루 2 김사연 KT 위즈 2014 23홈런 37도루
- 투수 주요 부문 역대 개인 1위 기록
굵게 표시된 것이 퓨처스리그 통합 1위. 각 리그 역대 1위도 같이 표기한다.
북부리그 남부리그 한 시즌 최다등판 이희성(2013, LG)
56경기박성호(2013, 상무)
54경기한 시즌 최저평균자책점 강길용(1994, OB)
1.11김백만(2002, 한화)
1.29한 시즌 최다승리 임준혁(2010, 상무),
장진용(2010, 상무),
우규민(2011, 경찰)
15승이재학(2012, NC)
15승한 시즌 최다패전 최현진(2011, 두산)
11패박현(2010, KIA)
10패한 시즌 최다세이브 전승윤(2011, 경찰)
20세이브김진성(2012, NC)
20세이브한 시즌 최다홀드 이희성(2013, LG)
15홀드문현정(2012, NC)
21홀드한 시즌 최다이닝 임준혁(2010, 상무)
164⅔이닝정인욱(2013, 상무)
148⅓이닝한 시즌 최다탈삼진 임준혁(2010, 상무)
135삼진정인욱(2013, 상무)
123삼진한 시즌 최다피안타 양훈(2013, 경찰)
164개안규성(2011, 넥센)
140개한 시즌 최다피홈런 조용원(2007, 경찰)
28개정대훈(2008, 한화)
12개
- 타자 주요 부문 역대 개인 1위 기록
굵게 표시된 것이 퓨처스리그 통합 1위. 각 리그 역대 1위도 같이 표기한다.
북부리그 남부리그 한 시즌 최다출장 허경민(2010, 경찰)
102경기[32]백상원(2010, 삼성)
101경기한 시즌 최고타율 이병규(2008, LG)
0.426김정혁(2011, 삼성)
0.418한 시즌 최다안타 최주환(2010, 상무)
151안타강구성(2013, NC)
114안타한 시즌 최다2루타 최형우(2007, 경찰)
41개조평호(2014, NC)
28개한 시즌 최다3루타 이민재(2011, LG)
13개김종호(2010, 삼성)
10개한 시즌 최다홈런 박병호(2008, 상무),
조영훈(2008·2009, 경찰),
최주환(2010, 상무)
24개모상기(2011, 삼성)
21개한 시즌 최다타점 김재환(2010, 상무)
101타점모상기(2011, 삼성)
83타점한 시즌 최다득점 최주환(2010, 상무)
104득점정형식(2010, 삼성)
74득점한 시즌 최다도루 윤승균(2008, 두산)
54개정형식(2010, 삼성)
39개한 시즌 최다사사구 김동명(2014, KT)
76개이양기(2006, 한화),
나성범(2012, NC)
65개한 시즌 최다삼진 전현태(2009, 경찰)
91개전현태(2007, 한화)
90개
8. 퓨처스 올스타전 ¶
퓨처스 리그에서도 올스타전이 열린다. KBO 퓨처스 올스타전 참조.
9. 중계방송 ¶
IB SPORTS | ||
SPOTV, SPOTV2 | 최두영 | 구경백 |
----
- [1] 상무가 이렇게 강했던 것은 기존팀들이 2군에 대한 지원을 소홀히 했기 때문. 각 팀이 점차 2군에 대한 지원을 하며 격차가 다소 줄었다.
- [2] 2007년 당시만 하더라도 2군 관련 기록을 정리하지 않았던 탓에, LG 2군 소속이었던 추승우가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했을 때 KBO에서도 추승우의 사이클링 히트가 몇 번째 기록인지 몰랐다.
- [3] 일부에서는 1983년 OB 베어스가 고졸 연습생을 영입하면서 처음으로 시작되었다.라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과는 다르다. OB 베어스가 2군 팀을 창단 발표한 것은 삼미 슈퍼스타즈가 2군 창단을 발표한후 3일후였던 7월 8일날 발표했다.라이브러리.
- [4] 다만 본격적으로 2군을 운영한것은 1986년 부터이다.당시 기사.
- [5] 이러한 경향은 00년대 초반까지 이어진다.
- [6] 당시 서울시에서 잔디 보호를 위해 1군 경기 외에는 잠실구장을 못 쓰게 했기 때문에 건국대학교 야구장을 사용 하였다.
- [7] 고양 원더스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 사이에는 경기를 치르지 않는다. 참고로 두 팀은 한국 내 대학 팀들과도 경기를 치르는데 물론 이 경기들은 퓨처스리그와 무관하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이 한국에 와서 경기를 하는 이유는 이 기사를 보면 이해하기 쉽다.
- [8] 참고로 당시 창단 논의를 했던 한국야구위원회측 관계자들은 2012~2013년에 모두 퇴사한 상황이라 이 문제를 더 꼬이게 만들었다.
- [9] 태평양 돌핀스 시절 포함.
- [10] 팀 해체 직전 기준.
- [11] 팀 해체 직전 기준.
- [12] 태평양 돌핀스 시절 포함.
- [13] 보면 팀당 경기수가 다른데 원래 96경기를 치를 계획이었으나 인천 아시안 게임 때문에 결국 경기수가 뒤죽박죽 되었다. 1군 무대라면 어떻게든 경기수를 모두 채웠을 테지만 2군 경기였기 때문에 전경기를 소화하지 않았다.
- [14] 3개의 리그로 나뉘는 첫번째 시즌이다.
- [15] 통합 우승. 쌍방울 레이더스는 창단 첫 해이자 2군 리그가 창설된 해에 2군 경기에서 우승하는 위업을 달성했는데 지금은 망했어요. 참고로 이때 쌍방울 레이더스는 1군팀이었다. NC 다이노스, KT WIZ처럼 창단 첫해에는 1군이 아닌 2군에서 데뷔했다.
- [16] 공동 우승.
- [17] 북부, 남부리그 각 4개팀. 팀당 36경기.
- [18] 현재 KBO 심판이다.
- [19] 북부, 남부리그 각 4개팀. 팀당 60경기.
- [20] 북부 5개팀, 남부 4개팀. 팀당 60경기.
- [21] 북부 5개팀, 남부 4개팀. 팀당 66경기.
- [22] 북부 5개팀, 남부 4개팀. 팀당 72경기.
- [23] 북부 5개팀, 남부 4개팀. 팀당 76경기.
- [24] 북부 6개팀, 팀당 76경기. 남부 4개팀, 팀당 78경기.
- [25] 북부 6개팀, 팀당 84경기. 남부 4개팀, 팀당 90경기.
- [26] 북부 6개팀, 팀당 89경기. 남부 4개팀, 팀당 90경기.
- [27] 북부, 남부리그 각 5개팀. 팀당 102경기.
- [28] 북부 5개팀, 팀당 92경기. 남부 6개팀, 팀당 100경기.
- [29] 시즌 중 제대해 원 소속팀인 SK로 복귀했지만, SK로 복귀한 후 2군 기록은 없다.
- [30] 원래 팀당 96경기를 치를 예정이었만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일정 때문에 우천 순연경기에 상관 없이 9월 6일에 모든 일정이 끝났다. 실제로는 각 팀마다 88경기에서 93경기 정도를 치렀다.
- [31] 같은 날 1군에서는 양준혁이 개인통산 두번째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했다.
- [32] 전경기 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