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항목은 스타크래프트2 프로게임단을 설명하는 항목입니다. 과거에 이 팀 소속이었던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찾으시는 분은 이 항목을 참조하도록 하고, 과거 이 팀 소속이었던 도타 2 팀을 찾으시는 분은 이 항목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 본 항목은 스타테일, ST-Yoe로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現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임단 | |
![]() [PNG image (81.71 KB)] | |
Startale 프로게임단 | |
소재 지역 | 대한민국 |
총감독 | |
감독 | 이선종(Legend) |
코치 |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공식 페이스북 구 공식 트위터 현 공식 트위터 |
스폰서 | ZOWIE GEAR JOYGEAR 레드불 유유제약 파일쿠키 |
팀 연혁 | 2010-09-01(창단) ~ 현재 |
2012 IPTL Season 1 우승팀 | ||||
IPL TAC 3 LG-IM | → | StarTale | → | 2013 IPTL Season 1 MVP |
넥슨 스폰서십 리그 시즌 1 우승팀 | ||||
리그 출범 | → | StarTale | → | MVP Phoenix |
1. 개요 ¶
2010년 9월 16일 창단한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임단. NEX, oGs, Prime, TSL에 이은 5번째 스타크래프트 2 게임단이다.
2012년 8월 17일 카운터 스트라이크 명문 팀 Project_kr을 후원, 선수들의 물품과 일부 경비를 지원하고 있다.
2011년 10월 21일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단을 추가 창단했으나, 2012년 8월 27일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해체했다.
2013년 10월 넥슨 스폰서십 리그 시즌 1을 앞두고 Bird Gang 팀을 인수해 도타 2 게임단을 창단했다. 그러나 이 팀 역시 2014년을 앞두고 스폰서를 그만두게 되었고 독립한 Bird Gang 은 PokerFace로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
2012년 8월 17일 카운터 스트라이크 명문 팀 Project_kr을 후원, 선수들의 물품과 일부 경비를 지원하고 있다.
2011년 10월 21일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단을 추가 창단했으나, 2012년 8월 27일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해체했다.
2013년 10월 넥슨 스폰서십 리그 시즌 1을 앞두고 Bird Gang 팀을 인수해 도타 2 게임단을 창단했다. 그러나 이 팀 역시 2014년을 앞두고 스폰서를 그만두게 되었고 독립한 Bird Gang 은 PokerFace로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
스타크래프트2 게임단 중 꾸준히 좋은 성적을 내고 있는 팀으로, TG삼보-인텔 GSL 오픈 시즌 1 준우승자 김성제, 2세대 인텔 코어 GSL Mar. 준우승자 박성준, HOT6 GSL Season 2 준우승자 박현우가 유명한 선수.
팀 리그인 GSTL에서의 성적도 좋아 GSTL Feb.(2월)에서 준우승을 거두고 2011 GSTL 시즌 1에서 비너스리그 2위를 기록했다. 그리고 이 성적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시언지 2012 GSTL Season 1에서 조별 순위 2위를 기록하고 결승전에서는 준우승했다.
몰라 뭐야 이거 무서워...
1.1. 전력 ¶
1.2. 총평 ¶
특별히 프로토스 라인으로 유명하긴 하지만, 사실 따지고 보면 어느 한 라인이 약하지가 않다. 초기엔 테란, 토스, 저그 세 라인이 모두 한 선수만을 믿는 수밖에 없었고 그로 인해 최지성, 박현우, 박성준이 부진할 때는 팀도 부진한 상황이었는데 테란에 박준용, 토스에 원이삭, 저그에 이원표가 활약하면서 세 라인 모두 고르게 강해졌고 특히 그 중에서 토스 라인은 명불허전.
허나 세월이 흐르면서 이런저런 부침을 겪은 끝에 이승현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고, 프로리그 2015 시즌 초기만 해도 yoe Flash Wolves와 연합을 구축하면서 3종족이 꿇리지 않는 라인업이 완성되었으나, 1라운드 종료 직후 이승현의 KT 롤스터 이적으로 인해 순식간에 이렇다 할 에이스가 없는 불안한 팀이 되었다. 게다가 yoe를 빼고 스타테일 팀 자체만 본다면 이원표 하나만 믿고 가야 하는 상황.
1.3. 준우승과의 인연 ¶
우승과 인연이 너무 없는 팀(...) 그래서 별명이 콩타테일이다.
본래 2011년에만 해도 딱히 콩라인과는 인연을 맺지 않았다. 팬이 많은건 예나 지금이나 똑같지만 하반기에 들어서면서 개인리그에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팀리그에서 4강 전후로 드나들긴 했지만 결정적으로 우승이나 준우승 커리어가 더 이상 생기지 않았기 때문. 즉, 이럴만한 별명이 붙을 요소가 부족했었다.
본래 2011년에만 해도 딱히 콩라인과는 인연을 맺지 않았다. 팬이 많은건 예나 지금이나 똑같지만 하반기에 들어서면서 개인리그에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팀리그에서 4강 전후로 드나들긴 했지만 결정적으로 우승이나 준우승 커리어가 더 이상 생기지 않았기 때문. 즉, 이럴만한 별명이 붙을 요소가 부족했었다.
하지만 2012년에 들어서 이정훈과 원이삭간의 라이벌 매치로 인해 시작된 일명 스프록이라는 이름으로 Prime과의 더비로 흥하기 시작하게 되자 자동스레 이상하리만큼 많은 준우승 커리어가 눈에 띄게 되었고 GSTL-IPL-GSL-WCS라는 굵직한 대회들의 준우승이 도합 반년만에 터지면서 콩라인에 가입했다.[1] 거기다 결정적으로 저 4개 대회만 봐서 그렇지 그 사이에 낀 해외 대회들을 다 합하면...
그래도 정우서, 최지성 둘의 우승 때문에 진짜 콩라인이라 할 순 없지만 2012년 들어서 연달아 터지는 준우승 커리어들로 인해 빼도 박도 못하는 2인자라는 점은 변하지 않을 듯하다.
2012년 이승현과 원이삭이 우승을 하면서 준우승과의 인연이 잠잠해 지는듯 하였으나 2013~2014 드림핵 윈터에서 이승현이 2연 준우승을 기록하면서 어떤식으로도 준우승을 하게되는듯 보인다.
1.4. 지각테일, 식빵테일 ¶
전자는 하술할 SK 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5/1라운드 준플레이오프에서 지각으로 인한 실격패를 받으면서 생긴 멸칭으로, 이후 스타테일 LOL팀, 도타 2팀이 존속했을 시절 지각과 관련된 사건(거품게임단 몰수패 사태, 도타2 NSL 몰수패 사태)이 발굴되면서 그 이미지가 더욱 굳어져 버렸다. 아래는 본 사건들이 언급된 기사들.

[JPG image (212.85 KB)]
이후 2라운드에서는 이선종 감독이 對 삼성 갤럭시 칸 전에서 50분 만에 광속 셧아웃을 당하자 분노를 참지 못하고 카메라가 보는 앞에서 식빵을 구우면서 식빵테일이란 불명예스런 멸칭이 하나 더 추가되었다. 해당 움짤 혹자는 스갤 ver. 모래반지 빵야빵야라고...
2. 코칭스탭 및 선수명단 ¶

[JPG image (62.02 KB)]
- 최근 작성일: 2015년 2월 11일
StarTale 구성원 | ||||
테란 | 김영일(Hack) 한이석(aLive) | |||
저그 | 박남규(Pet) 이원표(Curious/주장) 문새미(szmoon)[2] | |||
프로토스 | 김승현(StuN) 이종혁(Daisy) |
- 전 멤버(스타크래프트2)
- 탁현승 - MVP로 이적 후 은퇴
- 김현준 - 은퇴
- 김승현 - 브루드워 복귀 후 공군 ACE 입단, 해체 후 현역 복무중. 참고로 2014년 9월에 영입된 또다른 이름의 김승현과는 동명이인.
- 탄동호 - ZeNEX 이적 - 팀 해체 후 은퇴
- 트레버 휴스턴- 前 GSL 글로벌 방송 코드 A 해설자
- 김샘 - Fnatic 입단 - 사실상 은퇴
- 정운천 - PSW 입단 - 은퇴 추정
- 신정민 - 공익근무요원으로서 병역이행
- 이관우
- 나도현
- 박웅진
- 김성제 - 2012년 6월 26일 육군 현역 입대, 전역 후에는 활동 無.
- 박준용 - 은퇴
- 유충희 - Carnage eSports - Xeria Gaming 이적
- 원이삭 - 계약만료로 결별 이후, SKT T1 -> yoe Flesh Wolves 이적.
- 박현우 - 연봉 협상 결렬로 인해 결별, 이후 LG-IM으로 이적. 현재 무소속.
- 박성준 - 군입대 문제로 활동중단
- 주한진
- 이상군
- 박준성 - Quantic Gaming 이적
- 김동규
- 황의진
- 배상환 - 은퇴
- 정우서 - 前 곰TV WCS KOREA Challenger League 해설위원. 히오스 전향, Team No Limits 주장.
- 정우준 - 은퇴한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Myinsanity에 입단. 종족도 랜덤이 됨.
- 하지훈 - 은퇴
- 김기용 - Prime -> [MVP(프로게임단)] 이적.
- 조명환 - 은퇴
- 최지성 - 팀 탈퇴 후 레드불 개인 스폰
- 김남중 - 은퇴 후 번복, 진에어 그린윙스 입단, 재은퇴
- 김광복 - 탈퇴 후 창단 예정인 MVP 히오스 팀 코치 합류.[3]
- 윤희원[4] - 탈퇴
- 김가영 - 탈퇴
- 문호준 - 2014년 10월 14일 시점 탈퇴, 이하 동일.
- 임춘호
- 서기수
- 김수호 - 은퇴
- 한이잉
- 한재운[5] - MVP로 이적
- 이승현 - KT 롤스터로 이적
- 탁현승 - MVP로 이적 후 은퇴
- 전 멤버(리그 오브 레전드)
- 전 멤버(도타 2)
- 김상호(KSH) - NSL 시즌1 4강 승자조 경기에서 지각해 팀에게 몰수패를 안겨준 선수(...)
- 송익재(Gandhi)
- Jeffrey Yi(Tenbeezy)
- 강태영(Jyu)
- 표노아(MP)
- 박용규(YK)
- 김용민(Febby)
- 김상호(KSH) - NSL 시즌1 4강 승자조 경기에서 지각해 팀에게 몰수패를 안겨준 선수(...)
3.1. 팀 주요 성적(SC2) ¶
- ZOTAC CUP 시즌2 우승(4:1 ZeNEX)
- GSTL Feb. 준우승(4:5 Incredible Miracle)
- GSTL Mar. 4강
- 2012 GSTL Season 1 준우승(2:5 Prime)
- 2012 HOT6 GSTL Season 3 4강
- IPTL Season 1 우승(5:1 Incredible Miracle)
- 2013 IPTL Season 1 4강
- 2014 SC2Improve Team League S3 우승(4:2 Cascade)
3.2. 팀 주요 성적(LOL) ¶
- 인벤 올스타 토너먼트 8강
- 리그디스.네임드 초청 토너먼트 8강
- 인벤 네임드 챔피언십 4강
-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 - 16강
- Azubu the Champions Summer 2012 - 8강
3.3. 팀 주요 성적(도타 2) ¶
- 넥슨 스타터 리그 4강(Bird Gang)
- 넥슨 스폰서십 리그 시즌 1 우승(3:1 fOu)
3.4. 팀원 주요 성적 ¶
- TG삼보-인텔 GSL 오픈 시즌 1 준우승 - 김성제
- IEM 시즌5 월드 챔피언쉽 우승 - 정우서 / 3위 - 박현우
- 2세대 인텔 코어 GSL Mar. 준우승 - 박성준
- LG 시네마 3D GSL May. Code A 우승 - 최지성
- Dreamhack Summer 2011 3위 - 최지성
- 2011 MLG Raleigh 우승 - 최지성
- 펩시 GSL Aug. Code S 4강 - 박성준
- Sony Ericsson GSL Oct. Code A 우승 - 이원표
- Zowie Divina 우승 - 김가영
- IGN ProLeague Season 4 준우승 - 박현우
- Iron Lady Leetgion Tournament 준우승 - 김가영
- HOT6 GSL Season 2 공동 3위 - 원이삭
- HOT6 GSL Season 2 준우승 - 박현우
- Red Bull Battlegrounds 준우승 - 최지성 / 4위 - 박현우
- 배틀넷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SC2 2012 한국대표 선발전 준우승 - 박현우 / 3위 - 원이삭 / 공동 9위 - 이원표[7]
- TeamLiquid StarLeague 4 준우승 - 이승현
- 배틀넷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SC2 2012 아시아 컨티넨탈 준우승 - 원이삭 / 공동 5위 - 이원표[8]
- 2012 HOT6 GSL Season 4 우승 - 이승현
- 2012 MLG Pro Circuit Fall Championship 우승 - 이승현 / 3위 - 최지성
- Lone Star Clash 준우승 - 최지성
- 배틀넷 월드 챔피언쉽 시리즈 SC2 2012 그랜드파이널 상하이 우승 - 원이삭 / 16강 - 이원표
- WCG 2012 그랜드파이널 스타크래프트 2 부문 우승 - 원이삭
- 2012 Blizzard Cup 우승 - 이승현 / 준우승 - 원이삭
- 2013 MLG Pro Circuit Winter Championship 우승 - 이승현
- IEM Season VIII - New York 우승 - 이승현
- 2014 WCS Korea Season 1·HOT6 GSL Season 1 4강 - 이승현
- 2014 DreamHack Open: Bucharest 우승 - 이승현
- 2014 WCS Global Finals 우승 - 이승현
- 2014 DreamHack Open : Winter 준우승 - 이승현
- IEM Season IX - Taipei 우승 - 이승현
4.1. 2012년 ¶
4.2. 2012년 ¶
1월 13일 미국의 프로게임단 Quantic Gaming(콴틱 게이밍)과 파트너쉽을 체결하여 2012 GSTL Season 1에 StarTaleQ라는 이름으로 출전하게 되었다. 콴틱 소속으로 스타테일 숙소에서 머무르는 선수로 킴 함마르(Sase/프로토스)와 요한 루세시(NaNiWa/프로토스)가 있다.
6월 6일 김성제 선수가 6월 26일에 있을 입대를 위해 프로게이머 활동을 쉬기로 결정한다.
7월 6일 최지성 개인 스폰서였던 레드불이 팀 스폰서로 규모 확장한다. 3월에 후원체결 되었는데 공식발표는 그보다 늦은 7월 6일에 났다. [11]
7월 13일 스타2 팀 중 가장 약소팀으로 분류되었던 ZeNEX를 병합하여 8월 1일부터 제넥스 선수들을 모두 스타테일에 영입하기로 했다. TIG 기사 여러모로 대인배 이미지가 강해지고 있다.[12]
4.3. 2013년 ¶
1월 3일 원이삭 선수가 팀을 탈퇴한다.
1월 7일 조명환 선수가 팀에 입단한다. 추가로 레드불의 후원과 함께 스타테일이 겨울 부트캠프라는 이벤트를 개최함이 알려졌다. 코치진과 선수들이 이벤트 참가자들에게 직접 특별훈련과 미션을 줄 예정이라고 한다.기사 해당영상 링크
1월 13일 박현우 선수가 팀을 탈퇴한다.
3월 19일 영국 민영방송 TV채널4에서 방영될 4부작 다큐멘터리 The Greatest Shows On Earth 진행자 데이지 도노반이 한국을 찾아 무한도전 촬영을 마친 후 한국을 대표하는 프로게임단으로 스타테일을 촬영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사
추가로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그 동안 많은 시간을 들여 준비해온 STARTALE TV(스타테일티비) 오픈 소식을 알렸다. STARTALE TV에서는 스타크래프트2, 리그오브레전드, 도타2, 카트라이더, 월드오브탱크 등의 게임을 주요 콘텐츠로 활용해 각종 대회 및 정보 방송을 진행할 예정이다.기사
6월 26일 코드 A 예선에서 프로토스 유저인 정우준 선수가 비공식적으로 해당 팀에 합류해 있는것이 확인되었다. 해당 선수는 부트캠프에서 데뷔한 게이머 출신.

[JPG image (36.55 KB)]
7월 12일 게임전문 채널을 표방한 이에스티비(이하 ESTV)가 개국을 선언했다. ESTV의 법인회사인 에스게이트(SGATE)는 12일 보도자료를 통해 “기존의 스타테일티비(StarTaleTV)의 명칭을 ESTV로 바꾸고 새롭게 출발한다”고 밝혔다.
새롭게 단장한 ESTV는 기존 인천에 위치한 스타테일 게임단 연습실에서 벗어나 서울 영등포구의 새로운 스튜디오로 위치를 옮겼다. 더욱 넓고 쾌적한 공간과 전문화된 방송 장비를 구축해 한층 업그레이드 된 방송을 송출할 수 있게 됐다. ESTV는 7월 말부터 본격적으로 방송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했다.[17]

[JPG image (20.16 KB)]
8월 27일 배상환 선수가 이유를 밝히지 않은채 은퇴를 결정한다.[18]
12월 30일 주장인 최지성이 팀을 나갔다.(#)
4.4. 2014년 ¶
6월 28일, 내부 사정으로 인해 ESTV 방송 제작, 송출이 전면 중단되었음이 ESTV 공지사항에서 밝혀졌다. 저조한 시청률로 인한 수익모델 발굴 실패가 원인이라는 것이 중론. 이로써 스2 여성부리그의 앞날은 불투명해졌으며, LOL 아마추어 리그 또한 ESTV에서 방영되는 방송경기에서 전남과학대학에서 주관하는 온라인리그로 전환되었다. 이후 ESTV는 콩두컴퍼니가 인수했고 여성부리그도 그대로 진행된다고 한다.
7월 1일, 총감독이었던 원종욱 감독이 사퇴하고, 테란 유저였던 이선종이 새로운 사령탑으로 부임했다.
7월 24일 다음 시즌 프로리그에 참가하기 위해 선수를 모집하기로 한다. 최근 Incredible Miracle의 선수 이탈과 함께 팀 해체설과 맞물려, Incredible Miracle의 공석을 메꾸려는 것으로 보인다.
8월 23일 일본대표와 한일친선전에서 7대0 완승을 거둔다.[19]
8월 31일 스타테일 전 감독인 원종욱이 ESTV 직원들에게 월급을 체납하고 리그 상금조차 지급하지 않은 것으로 들어나 xp에서 파장이 일고있다.[20]
9월 22일 웹하드 업체 파일쿠키와 후원계약을 맺었다.기사
10월 14일, 테란 보강을 위해 한이석을 영입했다.
10월 31일, 2015년 프로리그 참여가 확정되었다.기사
11월 8일,이승현이 2014 wcs global final 우승을 차지하면서, 스타테일은 글로벌 파이널 우승자만 두명 배출한 팀이 되었다.[21]
11월 11일, 레드불 개인 스폰으로 활동하던 폭격기 최지성이 스타테일에 용병으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
12월 16일, 미디어데이와 함께 프로리그 2015 시즌 ST-Yoe 연합팀의 구성원이 밝혀졌다. 최지성은 플레잉코치로 활동하며, yoe 출신의 장위(張宇)·후위쟝(胡裕強)이 코치로 활동하는 호화로운 코치진이 완성되었다.[22]
4.5. 2015년 ¶
5.1. SK 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5 ¶
스타테일의 첫 프로리그 참가 시즌. IM이 빠진 빈자리를 메우게 되며, 2015 시즌에는 yoe Flash Wolves와 연합을 구성하여 ST-Yoe로 출전한다. 하술되어 있지만, 원이삭이 임의탈퇴로 인해 프로리그 출전이 불가능하단 점이 아쉬운 부분.
5.1.1. 1라운드 ¶
1주차에서는 Prime을 상대로 이동녕-이승현 두 이씨 저그와, 에결 강초원의 깜짝 활약으로 3:2 승리를 거두었다.
허나 2주차에서는 CJ 엔투스를 상대로 셧아웃당하면서, 선수들이 공언했던 것과는 달리 감독에게 떡을 먹여버렸다. 특히 한순간의 방심으로 인해 다 이긴 경기를 초장기전 끝에 허무하게 내 준 이원표가 안타까웠다는 평.
3주차에서는 삼성 갤럭시 칸을 상대로 백동준에게 패배한 이승현을 제외하고 강초원, 이원표, 이동녕이 승리하면서 3:1로 승리를 거두었으며, 4주차에는 진에어 그린윙스를 상대로 에결까지 간 끝에 3:2로 승리하면서 라운드 플레이오프 진출에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 개인, 프로리그 할 것 없이 무시무시한 기세를 내뿜고 있는 이승현이란 믿음직한 에이스+강초원, 이원표, 이동녕 등의 적절한 백업 요원들이 스타테일의 선전에 큰 보탬이 되고 있는 중.
6주차에서는 MVP를 상대로 무려 5저그를 기용하여 에결끝에 3:2로 승리하였다.5전 3선승제로 진행되는 프로리그 역사상 단일 종족#으로만 5세트까지 기용한 프로리그 두번[24] 째 경기였고 이승현의 경기력과 에이스로써의 활약이 돋보이는 경기였다.
허나 진에어 그린윙스와의 준플레이오프에서 지각으로 인해 실격패 처리되면서 ST-Yoe의 1라운드 여정은 허무하게 막을 내렸다. 지각으로 인한 실격패는 프로리그 역사상 초유의 사태였기에 스2 관련 커뮤니티에서 스타테일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이 강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그나마 이선종 감독이 SNS를 통해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진정되는 모양새로 흘러갔지만. 그래서인지 이 사건 직후 이루어진 이승현의 KT 롤스터 이적이 이선종 감독의 셀프징계(...)였다는 농담 아닌 농담이 돌고 있다. 기사에서 밝혔듯이 이승현의 이적은 1달 전부터 논의된 내용이었으나 하필 시점이 묘하게 겹치면서...
6. 기타 ¶
- 팀 로고의 변천사
참 자주 바뀌었다
[JPG image (72.97 KB)]
- 스타크래프트2 게임단 중 리그 오브 레전드, 여성 게이머 영입 등 여러 모로 활동 방향과 분야를 넓혀가는 시도를 하는 게임단. 이렇게 활동 방향을 넓혀가는 초창기에는 본진인 스타크래프트2 선수들의 성적이 잠시 안 좋아진 적이 있지만 본문에 있듯이 선수들이 부활하면서 코드 S 최다 진출자 보유 팀이 되었고 GSTL에서도 준우승했다.
문제는 준우승만 한다는 게 ...거기다 8강에 진출한 3명의 토스 중 2명이 왕에게 패배...
- 왠지 팀이 2등을 향해 꾸준히 나아가는 것처럼 보여서 결승에 진출한 박현우도 여러 모로 걱정이 된다.
그래도 코드 A에서조차 준우승한 이 선수보단 낫다
- 의외로 LG-IM, MVP와 함께 스폰서 때문에 부자구단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26] 위의 리그 오브 레전드 팀 해체 후의 입장 발표에서 말한대로 연봉까지 줄만한 상황은 되지 않는 걸로 보인다. 그나마 레드불에서 후원금을 지급하기로 한 원이삭, 최지성, 박현우를 제외한다면 아직까지 선수 개개인에게는 타 팀과 다른 점이 없는 모양. 그런데 2013년 1월 들어 원이삭, 박현우가 연봉 협상 결렬로 팀을 떠나면서 팀의 재정 문제가 다시 한 번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 2013년 1월 들어 개인 후원금을 받는 세 선수 중 원이삭, 박현우가 스타테일을 떠난 상태이다. 둘 다 연봉 협상 결렬로 인해 팀과 결별을 한 것이기에 스타테일의 재정 상황이 썩 좋지 않은 상황인 듯. 게다가 주력 프로토스 2명이 한꺼번에 팀을 떠난 것이므로 전력 공백 또한 우려된다. 일단 원이삭은 한국e스포츠협회 소속 프로게임단 입단을 결정, 포스팅 결과 SKT T1에 입단하게 되었으며, 박현우는 LG-IM에 입단하게 되었다.
- 팀의 열악한 사정을 반영이라도 하듯, 2014년 4월 들어 GSL 코드 S 진출자는 이승현 한 명 뿐이며, 그 이외의 멤버들은 전원 코드 B로 추락했다.
- 2014년 7월 코드A에서 팀내 선수 전원이 탈락하고 코드 B로 추락했다.
- 2014년 11월,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에서 yoe Flash Wolves와 연합을 구성하여 ST-Yoe라는 명칭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아울러 스타테일 소속이었던 최지성의 합류로 스타테일은 이승현-최지성-강초원-이동녕이라는 조합을 갖추면서 차기 프로리그의 다크호스로 급부상했다. 다만 원이삭은 임의탈퇴로 전 소속팀 SKT T1을 나왔기 때문에 프로리그에는 출전이 불가능하다. 이는 정윤종. 정명훈 또한 마찬가지.
- 2015년 1월,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에서 이승현이 1라운드 4주차 MVP로 선정되었다.[27] 이어서 6주차 MVP로도 선정되었다.[28]
----
- [1] 대충 스타크래프트로 비교한다면 프로리그, MSL, 스타리그, WCG가 전부 준우승인 경우.
- [2] 여성 프로게이머.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출신. 통칭 탈주라 사건의 주인공인 이유라를 개발살내 멘탈을 날려버렸던 선수다.
- [3] 전 위메이드 폭스 스탭 출신으로, GSTL 시즌 2 이후 사퇴하였다. 사퇴 이후에는 도타 2 KDL 티어결정전에 군필자 팀을 구성해서 참가한 적도 있었다.
- [4] 전 ZeNEX 감독
- [5] SKT T1에서부터 프로게이머 활동을 시작했다. 김지성이 드래프트 동기이자 입단 동기에 해당.
- [6] oGs 소속으로 스타2 프로게이머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
- [7] 나머지 한명은 前 SlayerS 소속의 전종범. 그러나 이원표와 다르게 전종범은 아시아 컨티넨탈에서 탈락.
- [8] 신노열과 공동 5위
- [9] 김성제의 여자친구
- [10] 근데 김가영과 사샤 호스틴은 비교 하는 자체가 무리다. 실력의 급 차이가 있기 때문
- [11] 후원발표기사, 레드불 후원에 관한 원종욱 충감독 인터뷰
- [12] 기사링크를 읽으면 알겠지만 oGs 해체가 이러한 결정을 내리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13] Quantic Gaming Welcomes TREME!
- [14] 이스포츠 연맹 게임단 7월로스터
- [15] 이스포츠 연맹, 소속 스타크래프트2 게임단 2013년 7월 로스터 공개
- [16] 스타테일, 유유제약과 공식 후원계약 체결
- [17] 게임전문 채널 이에스티비(ESTV) 개국 中 발췌
- [18] StarTale Sound - retired.
- [19] http://www.playxp.com/esports/view.php?article_id=5010564
- [20] http://www.playxp.com/sc2/bbs/view.php?article_id=5032520&search=1&search_pos=&q=
- [21] 2012년 원이삭,2014년 이승현
- [22] 스타테일과 류원, 김윤환 코치의 2인 코치 체제인 KT 롤스터를 제외한 타 팀들은 모두 (사실상) 1감독-1코치 체제.
- [23] EG-TL 시절 송현덕 선수가 혼자 지각해서 1경기를 EG-TL이 몰수패 처리(당일 1경기에 나오기로 되어있었음)당하고 2세트부터 이어서 한 적은 있다.
- [24] 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2014_Proleague/Round_2/Round_Robin 첫번째는 2014 시즌 삼성이 2라운드 3주차에서 im을 상대로 5세트까지 모두 저그가 나와서 3대2로 승리하였다.
- [25] 심지어 SKY 프로리그 2005 전기리그 당시 전패 위기에 몰렸던 e네이쳐톱팀도 마지막 경기는 승리를 하고 전패를 면했었다 !
- [26] 특히 같은 음료회사여서인지 MVP와 자주 언급된다.
- [27]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e_sports&ctg=news&mod=read&office_id=442&article_id=0000008399
- [28]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e_sports&ctg=news&mod=read&office_id=347&article_id=0000066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