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전대 시리즈 | ||||
천장전대 고세이저(2010) | ← | 해적전대 고카이저(2011) | → | 특명전대 고버스터즈(2012) |

Contents
1. 소개 ¶
"화끈하게 간다!!!"
"모험과 로망을 추구하며 우주 대해역을 누비는 젊은이들이 있다. 우주제국 잔갸크에 반기를 들고 해적이라는 오명을 긍지로 여기는 호쾌한 녀석들! 우주제국 잔갸크와의 싸움에서 잃어버린 슈퍼전대 34팀의 힘을 계승한 녀석들은 터무니없는 녀석들이었으니! 그 이름은…! 해적전대 고카이저!"
슈퍼전대 시리즈 35번째 기념작으로 고카이저라는 이름의 유래는 '호쾌(고-카이)'와 '레인저'의 합성어이다. 또한 발음상 고카이저가 오해다!로 해석될 수도 있다는 점이 재미있다.[1][2] 등장인물들 이름들도 말장난이 많다. 이카리 가이(분노의 가이), 총사령관 왈즈 길(너무 나쁘다), 참모장 다마라스(닥쳐) 등.
미국에선 전작인 《파워레인저 메가포스》가 방영이 끝난 후, 2014년부터 《파워레인저 슈퍼 메가포스》라는 이름으로 방영되었다.
2. 상세 ¶
3. 국내 방영 ¶
4. 프롤로그 ¶
5.1. 일본판 ¶
- 여는 노래
'해적전대 고카이저'(海賊戦隊ゴーカイジャー)
작사: 이와사토 유호
작곡: 모치다 유스케(持田 裕輔)
편곡: Project.R (카고시마 히로아키)
노래: Project.R (영 프레시, 마츠바라 츠요시)
- 닫는 노래
'슈퍼전대 히어로 게터'(スーパー戦隊 ヒーローゲッター)
가사: 후지바야시 쇼코 & 아라카와 나루히사
작곡: 오이시 켄이치로
편곡: Project.R (오이시 켄이치로)
노래: Project.R
5.2. 한국판 ¶
- 여는 노래
'파워레인저 캡틴포스'
노래: 이상걸
- 닫는 노래
'파워레인저 총출동'
노래: 이상걸
6.1. 해적전대 고카이저&붉은해적단 ¶
컬러(코드명) | 파트너 머신 | 캐릭터명 | 전용무기 | 담당 배우 | 국내판 성우 |
고카이레드 | 고카이 갤리온 | 캡틴 마벨러스 | 고카이 건 고카이 사벨 | 오자와 료타 | 김승준 |
고카이블루 | 고카이 제트 | 조 깁켄 | 야마다 유우키 | 이동훈 | |
고카이옐로 | 고카이 트레일러 | 루카 밀피 | 이치미치 마오 | 서혜정 | |
고카이그린 | 고카이 레이서 | 돈 도고이어 | 시미즈 카즈키 | 전태열 | |
고카이핑크 | 고카이 마린 | 아임 드 파미유 | 코이케 유이 | 조경이 | |
고카이실버 | 호수신 | 이카리 가이/박재민 | 고카이 스피어 | 이케다 준야 | 남도형 |
9. 제작진 ¶
"해적전대 고카이저(海賊戦隊ゴーカイジャー)"
슈퍼전대 시리즈 35번째 작품 |
9.2. 특별 출연 ¶
유치원 선생님(슈퍼전대 덕후)(1화) - 코야마 유미, 나카시마 후미에
아카레드의 목소리(2, 15, 16, 38화) - 후루야 토오루
소년(2, 50화) - 이즈미 다이치
오즈 카이(3화) - 하시모토 아츠시
아카자 반반(5화) - 사이네이 류지
레이몬 마리카(5화) - 키노시타 아유미
도기 크루거의 목소리(5화) - 이나다 테츠
카스가이 코마키(6화) - 타니우치 리사
어린 시절의 코마키(6화) - 카스가 카논
카스가이 코조(6화) - 시마즈 켄타로[46]
칸도 장(7화) - 스즈키 히로키
마스터 샤프의 목소리(7화) - 나가이 이치로
파차카마크 13세의 목소리(7화) - 마스타니 야스노리
시시 카케루(9화) - 카네코 노보루
시바 카오루(11, 12화) - 나츠이 루나
탄바 토시조(11, 12화) - 마츠자와 카즈유키
나시다 에이키치(13화) - 야마나카 다카시
진나이 쿄스케(14화) - 키시 유지
나카다이 미코토(18화) - 타나카 코타로
소녀(18화) - 마츠우라 아유
소녀의 엄마(18화) - 이토 루나
이카리 가이가 입원한 병원의 간호사(18화) - 칸자키 유키
료마(20화) - 마에하라 카즈키
휴우가(20화) - 오가와 테루아키
아카시 사토루(21화) - 타카하시 미츠오미
쇼타(22화) - 우라카미 세이슈
다이고(22화) - 오시바 료타
타츠미 마츠리(23화) - 시바타 카요코
미쿠(23, 50화) - 코니시 후
미쿠의 엄마(23, 50화) - 야마구치 아유미
노부유키(타코야키 집 주인)(24화) - 미야자키 토무
노부유키의 어머니(24화) - 오시마 요코
시나 요스케(25, 26화) - 시오야 슌
노노 나나미(25, 26화) - 나가사와 나오
비토 코타(25, 26화) - 야마모토 코헤이
사타라쿠라 Jr의 목소리(25, 26화) - 시마다 빈
산다루 Jr의 목소리(25화) - 이케다 슈이치
박사(루카와 몸이 바뀐)와 미팅한 여고생(27화) - 오츠보 아키호, 나카하라 마이[47]
유키 가이(28화) - 와카마츠 토시히데
여신(28화) - 카와무라 리카
산조 유키토(29화) - 토미타 쇼
오하라 조(30화) - 니시무라 카즈히코
호시노 고로(31화) - 시시도 마사루
마루오 모모(31화) - 사토 타마오
소년(32화) - 후지와라 카오루
천화성 료(33화) - 와다 케이이치
카인(34화) - 키미자와 유키[48]
에스미 소스케(35, 36화) - 후루하라 야스히사
염신 스피돌의 목소리(35, 36화) - 나미카와 다이스케
염신 버스온의 목소리(35, 36화) - 에가와 히사오
염신 베아르V의 목소리(35, 36화) - 이노우에 미키
봄퍼의 목소리(35, 36화) - 나카가와 아키코[49]
다테 켄타(39화) - 오시바 쿠니히코
디지털 연구부 학생들(39화) - 토이 치에미, 타카하시 나오토[50]
그 외 모로호시 고등학교 학생들(39화) - 오타 모토히로, 이쿠라 마나미
도몬(40화) - 코이즈미 토모히데
모리야마 호나미(40화) - 요시무라 타마오
모리야마 미라이(40화) - 코미야 아스카
아임의 아버지(파미유 별의 왕)(41화) - 탄포포 오사무
아임의 어머니(파미유 별의 왕비)(41화) - 반도 나나에
아케보노 시로(44화) - 오바 켄지
키노시타 세이지(44화) - 혼다 다이쇼
세이지의 누나(44화) - 후세 유노
츠루히메(45화) - 히로세 사토미
닌자맨의 목소리(45, 46화) - 야오 카즈키
히바 타카유키(49, 51화) - 고다이 타카유키
호시카와 레미(49, 51화) - 하야세 케이코
하야테 쇼(49화) - 타카하시 카즈오키
다이(49화) - 우에무라 키하치로
아키라(49화) - 히로타 잇세이
고우시(50, 51화) - 다카야스 아오히사
아마치 쇼이치로(50화) - 야마다 루이 53세
야마자키 유카(50화) - 히라타 카오루
천중성 쇼지(51화) - 하무라 에이
천시성 카즈(51화) - 츠지야 케이스케
타츠미 쇼(51화) - 하라다 아츠시
오즈 호카(51화) - 벳푸 아유미
스토 미우(51화) - 스기모토 유미
9.3. 슈트 액터 ¶
고카이 블루 ㅡ 오시카와 요시후미
고카이 옐로 ㅡ 하치스카 유이치
고카이 그린 ㅡ 타케우치 야스히로
고카이 핑크 ㅡ 노가와 미즈호
히토미 사나에
왈즈 길 ㅡ 세이케 리이치
다마라스 /도기 크루거 ― 쿠사카 히데아키
바리조그 ㅡ 오카모토 지로
인산 ㅡ 오바야시 마사루
행동대장 ㅡ 야베 케이조
아카레인저 ㅡ 오카모토 요시노리
블랙 마스크 ㅡ 마토바 코지
트리케라레인저 ㅡ 하치스카 쇼지
닌자 레드 ㅡ 타카이와 세이지
닌자 블랙 ㅡ 키타가와 츠토무(喜多川 2tom)
데카 브레이크 ㅡ 에이토쿠
보우켄 핑크 ㅡ 나카가와 모토쿠니
10.1. TV판 ¶
이름 | 캐릭터명 | 등장 작품 | 방영시기& 전대 기수 | 등장 화수 | 성우 |
아카레인저/ 레드레인저 | 카이조 츠요시/ 강해성 | 비밀전대 고레인저 | 1975년 01대 전대 | 제01화※ 제51화 | 신성호 |
아카레드 | 아카레드 | 보우켄저 VS 슈퍼전대 | 2006년 30대 전대 (특별편) | 제02화 제15-16화 제38화 | |
마지 레드/ 매직 레드 | 오즈 카이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 2005년 29대 전대 | 제02-03화 | 정재헌 ★ |
데카 레드/ S.P 레드 | 아카자 반반/ 탄 |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 2004년 28대 전대 | 제05화 | 김장 ★ |
데카 옐로/ S.P 옐로 | 레이몬 마리카/ 재스민 | 이지영 ★ | |||
데카 마스터/ S.P 마스터 | 도기 크루거 | 제05화 제51화 | 이봉준 ★ | ||
게키 레드/ 와일드 레드 | 칸도 쟝 | 수권전대 게키레인저 | 2007년 31대 전대 | 제07화 | 홍범기 ★ |
가오 레드/ 정글 레드 | 시시 카케루/ 레오 | 백수전대 가오레인저 | 2001년 25대 전대 | 제09화 | 박성태 ★ |
신켄 레드/ 블레이드 레드 | 시바 카오루 | 사무라이전대 신켄저 | 2009년 33대 전대 | 제11-12화 | 박선영 |
레드 레이서 | 진나이 쿄스케/ 최지훈 | 격주전대 카레인저 | 1996년 20대 전대 | 제14화 | 곽윤상 |
아바레 킬러/ 다이노 화이트 | 나카다이 미코토/ 미토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 2003년 27대 전대 | 제18화 | 서윤선 ★ |
불 블랙 | 휴우가/ 휴거 | 성수전대 긴가맨 | 1998년 22대 전대 | 제20화 | 안장혁 |
긴가 레드/ 갤럭시 레드 | 료우마/ 리온 | 심규혁 | |||
보우켄 레드/ 트레저 레드 | 아카시 사토루/ 케인 | 굉굉전대 보우켄저 | 2006년 30대 전대 | 제21화 | 김영선 ★ |
고 핑크 | 타츠미 마츠리/ 마리 | 구급전대 고고파이브 | 1999년 23대 전대 | 제23화 | 여민정 |
허리켄 레드/ 스톰 레드 | 시나 요스케/ 시나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 2002년 26대 전대 | 제25-26화 | 전광주 ★ |
허리켄 블루/ 스톰 블루 | 노노 나나미/ 노노 | 이명희 | |||
허리켄 옐로/ 스톰 옐로 | 비토 코타/ 비토 | 임하진 | |||
블랙 콘돌 | 유우키 가이 | 조인전대 제트맨 | 1991년 15대 전대 | 제28화 | 이상헌 |
아바레 블루/ 다이노 블루 | 산죠 유키토/ 타이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 2003년 27대 전대 | 제29화 | 정명준 ★ |
옐로 라이온 | 오오하라 죠/ 황보성 | 초수전대 라이브맨 | 1988년 12대 전대 | 제30화 | 김환진 ★ |
오 레드 | 호시노 고로/ 제성균 | 초력전대 오레인저 | 1995년 19대 전대 | 제31화[51] | 권영호 |
오 핑크 | 마루오 모모/ 모모 | 김나율 | |||
류레인저 | 천화성 료 | 오성전대 다이레인저 | 1993년 17대 전대 | 제33화 | 최재호 |
고온 레드/ 엔진 레드 | 에스미 소스케/ 마하 | 염신전대 고온저 | 2008년 32대 전대 | 제35-36화 | 변현우 ★ |
메가 레드 | 다테 켄타/ 강현태 | 전자전대 메가레인저 | 1997년 21대 전대 | 제39화 | 방성준 |
타임 옐로 | 도몬 | 미래전대 타임레인저 | 2000년 24대 전대 | 제40화 | 김디도 |
배틀 케냐 | 아케보노 시로/ 시로 | 배틀피버 J | 1979년 03대 전대 | 제44화 | 이재범 |
닌자 화이트 | 츠루히메/ 학희 | 닌자전대 카쿠레인저 | 1994년 18대 전대 | 제45화 | 김하영 |
닌자맨 | 닌자맨 | 제45-46화 | 최낙윤 | ||
발 이글 | 히바 타카유키[52]/ 유키 | 태양전대 선발칸 | 1981년 05대 전대 | 제49화 제51화 | 장광 |
파이브 옐로 | 호시카와 레미/ 성래미 | 지구전대 파이브맨 | 1990년 14대 전대 | 김나율 | |
체인지 그리폰 | 하야테 쇼우/ 허영우 | 전격전대 체인지맨 | 1985년 09대 전대 | 제49화 | 김환진 ★ |
그린 플래시 | 다이/ 라이 | 초신성 플래시맨 | 1986년 10대 전대 | 이재범 | |
블루 마스크 | 아키라/ 박태환 | 광전대 마스크맨 | 1987년 11대 전대 | 김디도 | |
맘모스레인저 | 고우시 | 공룡전대 쥬레인저 | 1992년 16대 전대 | 제50-51화 | 김태훈 |
텐마레인저 | 천중성 쇼지/ 천중성 지우 | 오성전대 다이레인저 | 1993년 17대 전대 | 제51화 | 이재범 |
기린레인저 | 천시성 카즈 | 없음 | |||
고 그린 | 타츠미 쇼/ 쇼 | 구급전대 고고파이브 | 1999년 23대 전대 | 없음 | |
마지 핑크/ 매직 핑크 | 오즈 호우카/ 오즈 루시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 2005년 29대 전대 | 이용신 ★ | |
고온 실버/ 엔진 실버 | 스토 미우/ 미우 | 염신전대 고온저 | 2008년 32대 전대 | 없음[53] |
10.2.1. 고카이저 고세이저 슈퍼전대 199히어로 대결전[54] ¶
이름 | 캐릭터명 | 등장 작품 | 방영시기&전대 기수 |
아카레인저/ 레드레인저 | 카이조 츠요시/ 강해성 | 비밀전대 고레인저 | 1975년 01대 전대 |
아오레인저/ 블루레인저 | 신메이 아키라※/ 신 | ||
빅 원 | 반바 소우키치/ 바키 | 잭커 전격대 | 1977년 02대 전대 |
덴지 블루/ 파워 블루 | 오우메 다이고로/ 로우 | 전자전대 덴지맨 | 1980년 04대 전대 |
고글 블랙 | 쿠로다 간페이/ 김창완 | 대전대 고글파이브 | 1982년 06대 전대 |
다이나 핑크 | 타치바나 레이/ 레이 | 과학전대 다이나맨 | 1983년 07대 전대 |
레드 원 | 고 시로/ 설용 | 초전자 바이오맨 | 1984년 08대 전대 |
레드 터보 | 호노 리키/ 강철 | 고속전대 터보레인저 | 1989년 13대 전대 |
류레인저 | 천화성 료 | 오성전대 다이레인저 | 1993년 17대 전대 |
닌자 레드 | 사스케※ | 닌자전대 카쿠레인저 | 1994년 18대 전대 |
레드 레이서 | 진나이 쿄스케※/ 최지훈 | 격주전대 카레인저 | 1996년 20대 전대 |
시그널맨 | 폴리스 코반 | ||
불 블랙 | 휴우가※/ 휴거 | 성수전대 긴가맨 | 1998년 22대 전대 |
데카 핑크/ S.P 핑크 | 코도우 코우메/ 유리카 | 특수전대 데카레인저 | 2004년 28대 전대 |
데카 마스터/ S.P 마스터 | 도기 크루거 | ||
울자드 파이어/ 우르저드 파이어 | 오즈 이사무※/ 오즈 라스카 | 마법전대 마지레인저 | 2005년 29대 전대 |
보우켄 레드/ 트레저 레드 | 아카시 사토루/ 케인 | 굉굉전대 보우켄저 | 2006년 30대 전대 |
고온 옐로/ 엔진 옐로 | 로야마 사키/ 써니 | 염신전대 고온저 | 2008년 32대 전대 |
신켄 그린/ 블레이드 그린 | 타니 치아키/ 타니 | 사무라이전대 신켄저 | 2009년 33대 전대 |
신켄 골드/ 블레이드 골드 | 우메모리 겐타/ 겐 | ||
고세이 레드/ 미라클 레드 | 아라타/ 미르 | 천장전대 고세이저 | 2010년 34대 전대 |
고세이 핑크/ 미라클 핑크 | 에리 | ||
고세이 블랙/ 미라클 블랙 | 아그리/ 케인 | ||
고세이 옐로/ 미라클 옐로 | 모네 | ||
고세이 블루/ 미라클 블루 | 하이드 | ||
고세이나이트/ 미라클 나이트 | 고세이나이트/ 미라클 나이트 |
12. 관련 작품 ¶
- 슈퍼전대 배틀 레인저 크로스 - 비디오 게임
- 해적전대 고카이쟈 모으고 변신! 35전대! - NDS 게임
- 천장전대 고세이저 VS 신켄저 Epic on 은막 - 고카이저 게스트 출연.[57]
- 고카이저 고세이저 슈퍼전대 199히어로 대결전 - 슈퍼전대 35대 기념 영화.
- 해적전대 고카이저 THE MOVIE - 하늘을 나는 유령선 - 고카이저 여름 개봉 영화.
- 해적전대 고카이저 킹킹! 초화려하게 간다! 36단 고카이체인지! - 고단샤 스폐셜DVD.
38화와 39화 사이에 일어나는 에피소드둘이서 하나인 해적이다.
- 해적전대 고카이저 VS 우주형사 갸반
- 가면라이더X슈퍼전대 슈퍼 히어로 대전
-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VS 해적전대 고카이저 THE MOVIE
- 가면라이더X슈퍼전대X우주형사 슈퍼 히어로 대전 Z
- 토에이 히어로 넥스트 - 3탄 사랑의 톱니바퀴 <Love Gear>
- 액션라이브쇼 파워레인저 캡틴포스(2012.12~2013.1)
한국에서 2012년 겨울방학 이벤트로 진행된 액션 라이브 쇼로 캡틴포스의 주인공들이 무대에서 활극을 펼친다. 한국형 무대이니 만큼 후뢰시맨이 특별히 출연하여 장시간 액션을 펼친다.
- 슈퍼 액션라이브쇼 파워레인저 캡틴포스 VS 고버스터즈
2013년 7~8월 여름 방학 이벤트로 벌어진 라이브 액션쇼. 캡틴포스와 고버스터즈가 함께 등장하고 나쁜 박사에게 두 팀다 괴롭힘을 당하다가 당연히 권선징악으로 엔딩. 캡틴포스는 고버스터즈에게 지구를 맡기고 보물을 찾아 우주여행을 하러가면서 끝.
13. 방영 에피소드 ¶
방영일 | 화수 | 제목[58] | 각본 | 게스트 | 특이사항 | 시청률(%)[59] |
2011/2/13 | 01 | 우주해적 나타나다 | 아라카와 나루히사 | 레전드 대전 고카이오 등장 | 6.6% | |
2011/2/20 | 02 | 이 별의 가치 | 5.1% | |||
2011/2/27 | 03 | 용기를 마법으로 바꾸어 ~마지'마지'고'고카이[60] | 오즈 카이 | 6.0% | ||
2011/3/6 | 04 | 무엇을 위한 동료/ 무엇을 위한 동료인가 | 5.6% | |||
2011/3/20[61] | 05 | Judgement'Pirate[62]/ 해적의 명예를 위해 | 도기 크루거 아카자 반반 레이몬 마리카 | 6.3% | ||
2011/3/27 | 06 | 제일 소중한 것/ 가장 소중한 보물 | 5.4% | |||
2011/4/4 | 07 | 들썩들썩! 권법수행[63]/ 들썩들썩 권법수련 | 카무라 쥰코 | 칸도 쟝 권성 마스터 샤프 | 4.9% | |
2011/4/11 | 08 | 스파이 소작전 | 아라카와 나루히사 | 5.1% | ||
2011/4/18 | 09 | 사자, 달리다[64] | 카무라 쥰코 | 시시 카케루 | 4.5% | |
2011/4/25 | 10 | 트럼프 승부[65]/ 트럼프 게임 | 시모야마 켄토 | 5.2% | ||
2011/5/01 | 11 | 진검 대소동[66] | 아라카와 나루히사 | 시바 카오루 탄바 토시조 | 4.8% | |
2011/5/08 | 12 | 정평이 난 화려한 사무라이/ 해적과 무사, 그리고 우정 | 5.4% | |||
2011/5/15 | 13 | 길을 알려줘/ 해적에게 길을 묻다 | 카무라 준코 | 5.5% | ||
2011/5/22 | 14 | 지금도 교통안전[67] | 우라사와 요시오[68] | 진나이 쿄스케 | 6.3% | |
2011/5/29 | 15 | 사략선 나타나다 | 카무라 준코 | 바스코 등장 | 5.8% | |
2011/6/5 | 16 | 격돌, 전대vs 전대/ 격돌! 파워레인저 VS 파워레인저 | 5.4% | |||
2011/6/12 | 17 | 굉장한 은빛의 남자/ 왠지 굉장한 은색 남자 | 아라카와 나루히사 | 고카이 실버 등장 | 5.6% | |
2011/6/26[69] | 18 | 공룡 로봇 드릴로 크게 날뛰다[70]/ 공룡 로봇 드릴로 대활약! | 나카다이 미코토 | 호수신 등장 | 4.6% | |
2011/7/3 | 19 | 15 전사의 갑옷/ 열 다섯 전사의 갑옷 | 5.4% | |||
2011/7/10 | 20 | 미혹의 숲/ 방황의 숲 | 카무라 쥰코 | 료우마 휴우가 | 6.0% | |
2011/7/17 | 21 | 모험가의 마음 | 시모야마 켄토 | 아카시 사토루 창조왕 류온 | 4.8% | |
2011/7/24 | 22 | 별이 지는 약속/ 별과 함께한 약속 | 아라카와 나루히사 | 3.8% | ||
2011/7/31 | 23 | 사람의 생명은 지구의 미래[71][72] | 카무라 쥰코 | 타츠미 마츠리 | 5.2% | |
2011/8/7 | 24 | 어리석은 지구인 | 우라사와 요시오 | 4.6% | ||
2011/8/14 | 25 | 해적과 닌자[73] | 아라카와 나루히사 | 시나 요스케 노노 나나미 비토 코타 | 5.0% | |
2011/8/21 | 26 | 휘리릭 THE SPECIAL[74]/ 호쾌 폭풍 스페셜 | 3.3% | |||
2011/8/28 | 27 | 평소보다 호쾌한 체인지/ 다른 때보다 호쾌한 변신 | 카무라 쥰코 | 4.5% | ||
2011/9/4 | 28 | 날개는 영원히 | 이노우에 토시키[75] | 유우키 가이 | 4.6% | |
2011/9/11 | 29 | 날뛰는 7단 변화로 신합체[76]/ 공룡이 선물한 새로운 힘 | 아라카와 나루히사 | 산죠 유키토 이마나카 에밀리 | 6.2% | |
2011/9/18 | 30 | 친구의 영혼만이라도 | 카무라 쥰코 | 오오하라 죠 | 5.1% | |
2011/9/25 | 31 | 충격! 비밀작전 | 아라카와 나루히사 | 호시노 고로 마루오 모모 | 5.3% | |
2011/10/2 | 32 | 힘을 하나로/ 힘을 하나로 모아서 | 카무라 쥰코 | 6.2% | ||
2011/10/9 | 33 | 히어로다! [77] / 나는 레인저다! | 이시바시 다이스케 | 천화성 료 | 4.4% | |
2011/10/16 | 34 | 꿈을 이루어줘/ 꿈을 이루기 위해 | 아라카와 나루히사 | 4.7% | ||
2011/10/23 | 35 | 차원의 저편[78]/ 차원 저편에.. | 카무라 쥰코 | 에스미 소스케 봄퍼 염신 스피돌 염신 버스온 염신 베아르V | 염신 마하르콘 등장 | 5.0% |
2011/10/30 | 36 | 파트너 해적 | 4.8% | |||
2011/11/6 | 37 | 최강의 결전기/ 최강의 전투머신 | 시모야마 켄토 | 4.7% | ||
2011/11/13 | 38 | 꿈을 잡는 힘/ 꿈을 손에 넣을 힘 | 바리조그, 왈즈 길 사망 | 4.9% | ||
2011/11/20 | 39 | 어째서?우리들이 고교생[79]/ 깜짝 변신! 우리가 고등학생? | 카무라 쥰코 | 다테 켄타 | 4.9% | |
2011/11/27 | 40 | 미래는 과거에[80]/ 미래는 과거에서 | 도몬 모리야마 호나미 | 4.5% | ||
2011/12/4 | 41 | 잃고 싶지 않은 것/ 잃어버릴 수 없는 것 | 황제 아쿠도스 길 등장 | 4.5% | ||
2011/12/11 | 42 | 지상 최강의 남자/ 우주 최강의 남자 | 4.3% | |||
2011/12/18 | 43 | 전설의 용사로/ 전설의 용사에게 | 다마라스 사망 | 3.6% | ||
2011/12/25 | 44 | 멋진 성야/ 거룩한 밤에 | 아케보노 시로 | 4.5% | ||
2012/1/8/ | 45 | 서두르는 닌자/ 덜렁이 닌자 | 츠루히메, 닌자맨 | 연말 총집편 방송 | 4.1% | |
2012/1/15/ | 46 | 히어로(영웅) 합격/ 영웅의 자격 | 3.2% | |||
2012/1/22 | 47 | 배신의 끝/ 배신의 끝에 | 사리 사망 | 3.8% | ||
2012/1/29 | 48 | 숙명의 대결 | 바스코 사망 | 4.5% | ||
2012/2/5 | 49 | 우주 최대의 보물 | 히바 타카유키 하야테 쇼우 다이 아키라 호시카와 레미 | 개발기관 인산 사망 | 5.3% | |
2012/2/12 | 50 | 결전의 날 | 고우시 야마자키 유카 아마치 쇼이치로 | 5.4% | ||
2012/2/19 | 51 | 안녕 우주해적 | 카이조 츠요시 히바 타카유키 호시카와 레미 고우시 천중성 쇼지 천시성 카즈 타츠미 쇼 도기 크루거 오즈 호우카 스토 미우 | 잔갸크 황제 사망 고카이저 최종화 | 4.0% |
- [1] 이는 단음이 되느냐 장음이 되느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고카이'라고 짧게 발음하면 오해, '고-카이'라고 발음하면 호쾌. 물론 본 작은 고∼오오오오오오오오∼-카이쟈라고 발음한다. 정확히 말하면 대개 나이든 어르신들의 말투에 가깝다.(오해라네)
- [2] 해적판도 의식해서 만든 제목인지 때때로 작품 안에서 해적판 전대라고 자신들을 칭하는 장면이 나온다.
- [3] 고전 전대에 출연했던 배우 중 다수는 일찌감치 연예계를 떠난 상태이기 때문이다.
- [4] 시바 타케루를 맡았던 마츠자카 토리같은 경우는 일정상 출연이 불가능하여 불참. 게다가 2012년 NHK드라마의 성공으로 전대물에 나오기 에는 너무 떠버렸다.(...)
- [5] 후반에 바스코에게 위대한 힘을 강탈당한 다섯 전대들(선발칸, 체인지맨, 플래시맨, 마스크맨, 파이브맨)과 배우의 출연 없이 위대한 힘을 넘겨준 쥬레인저는 이대로 게스트 출연이 무산되는 게 아니냐는 반응이었지만, 다행히 잠깐이나마나 전부 게스트로 배우들이 출연했다.
- [6] 엄밀히 말하면 배틀피버 J와 덴지맨은 동일 배우가 1인 2역으로 등장했지만...
- [7] 다만 출연진 리스트에 나와 있듯이 남녀가 거의 같은 숫자인 옐로는 남성 옐로와 여성 옐로가 별도로 등장했으며 레드는 먼저 2대 발 이글을 재등장시킨 후 초대 레드인 아카레인저로 마무리 지었다.
- [8] 고레인저 허리케인은 원래 폭탄이 맞으나 중후기 때부터 개그 분위기가 나도록 폭탄 자체가 폭발하지 않는 대신 어떠한 물건으로 변해서 적을 물리치는 것이 패턴이 되었다.
- [9] 다만 플래시맨의 경우에는 어쩔 수 없는것이 이 사람들은 지구에 오는 것 조차 불가능해서 전용스토리를 쓰려면 플래시성까지 가야 한다.
- [10] 그에 대한 배려(?)인지는 모르겠지만 엔딩을 보면 배틀피버 J 대목에서 태극기가 등장한다. 소문에는 슈퍼전대 시리즈가 정식으로 수입된 국가의 국기들을 내걸었다는 말이...
- [11] 관련된 사항은 오오하라 죠 항목 참고.
- [12] 그냥 로고만 띄워준다. 1990년 지구전대 파이브맨 이후 21년만
- [13] 이제는 지나간 얘기지만 이 때문에 고카이저가 방영이 불발될 경우 어떻게 할 것이냐를 두고 논란(?)이 있었다. 《구급전대 고고파이브》까지의 전대 작품이 TV 방영이 불가능하게 된 이상 시기를 다시 거슬러서라도 《미래전대 타임레인저》를 방영할 것이냐, 아니면 《가면라이더 오즈》의 방영을 앞당길 것이냐 등등의 얘기가 이어졌다. 심지어는 《마법전대 마지레인저》의 재방영 가능성까지 제기되었다.
- [14] 파워레인저판 제목인 로스트갤럭시를 반영.
왜 굳이 ~맨이 아니라 ~레인저인지는 모르겠지만 - [15] 신켄저는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더빙판에서 '파워레인저 사무라이포스'로 번역되었지만, 사무라이라는 명칭이 왜색의 종류인지라 블레이드포스로 변경.
- [16] 단, 위에 나온 블레이드포스와 인풍전대 허리케인저는 예외. 후자의 경우는 국내에 극장판이 방영될 당시 '허리케인레인저'라는 형태로 들어왔지만 명칭 통일을 위해 북미판 명칭인 파워레인저 닌자스톰으로 변경되었다.
- [17] 현대통상이 수입한 고속전대 터보레인저도 판권이 없어서 그런 걸로 추정.
- [18] 구급전대 고고파이브의 미국 리메이크판인 파워레인저 라이트스피드 레스큐의 핑크 역을 맡은 여민정이 그대로 캐스팅된 것도 우연일 수도 있다. 애초에 현지화명부터가 다르다.
- [19] 하지만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두 주인공과 가면라이더 블레이드의 두 주인공의 성우가 같은 사람이라는 걸 감안하면 류우키의 세계에서의 성우 변경은 딱히 비판받을 이유는 없다.
하지만 파이즈는...그리고 덴오의 세계와 히비키의 세계, 신켄저의 세계를 제외한 다른 세계의 등장인물들이 원작의 등장인물과 전혀 다른 캐릭터라는 걸 감안하면, 굳이 고카이저와 비교하는 건 부당하다고 할 수 있다. - [20] 허리케인저는 극장판만 방영이 되었고 당시 블루 성우는 채의진, 옐로 성우는 전태열이었다. 본편이 국내에 방송된 데카레인저와 가오레인저도 극장판은 애니박스에서 더빙되긴 했지만 허리켄은 국내 더빙된 매체가 극장판이 유일한지라...
- [21] 긴가 레드, 오 핑크, 타임 옐로, 배틀 케냐, 닌자 화이트 등.
- [22] 김환진은 뒤에 체인지 그리폰으로 다시 출연.
- [23] 이후 후속작인 특명전대 고버스터즈의 연출도 맡았다.
- [24] 대표적으로 네비의 별명인 '토리(새)'를 '닭둘기'로 번안.
- [25] 캡틴포스의 번역을 맡은 번역가 양준모가 건덕후 기질이 있는 듯한데 예전 미래일기 자막 번역에서 쿠르스 케이고가 아버지에게 맞았을 때 수정펀치라고 번역한 적이 있다.(원본에서는 그냥 맞았다고만 나온다. 케이고가 맞은 이유가 건담 프라모델 때문인 걸 생각하면 거의 확실한 듯)
- [26] 다만 일반적인 번역은 상당한 센스를 자랑하지만 전문용어 면에선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도 있다. 대표적인 예가 3화에선 빅 원이라고 제대로 명명했지만 이후엔 빅 맨으로 명명한 것. 그래서 투니버스처럼 '전문용어 감수'를 따로 두지 않은건 아쉽다는 평이 많다.
- [27] 예를 들어 28화에서는 바이람에 대한 언급은 없지만 더빙판에서는 바이람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 [28] 이런 문제는 이미 전작인 파워레인저 정글포스 때도 있었던 문제다. 그때는 곡 중간에 코러스 부분이라 크게 눈치채지 못했다가 이번에 와서 두드러진 케이스.
- [29] 대원 첫 방영을 시작한 보우켄저(트레저포스) 이래로, 지금껏 게키레인저, 가오레인저, 고온저, 고세이저 모두 삽입곡 번역, 하다못해 삭제조차도 죽어라 안했다. 그나마 후속작인 고버스터즈의 경우 하다 못해 오프닝만 한국판으로 때웠지만
- [30] 다만 임하진의 경우에는 녹음 시기를 생각하면 그대로 캐스팅 될 수 있었다. 다른 1기 성우들도 몇몇 안 나온걸 보면 역시 예산 문제로 애초에 처음부터 캐스팅하지 않았던 가능성이 크다.
- [31] 폭넓은 캐스팅을 보여줬던 그 투니버스도 나루토 질풍전, 원피스, 테니스의 왕자,
명탐정 코난등의 작품을 제외하면 2010년도 들어서는 다소 폐쇄적인 캐스팅을 보여주는 걸 생각하면…. - [32] 대원이 이렇게 전속을 배제하고 베테랑 위주의 성우 캐스팅에 비중을 둔 작품은 2기를 뽑고나서 캡틴포스가 처음이다. 페어리 테일에 나오는 외부 성우들도 10년차 이상의 성우의 비중이 적단걸 생각하면 그만큼 대원에서 사활을 걸었다고 볼 수 있다. 최종적으로 캡틴포스에 참여한 성우는 50명. 리즈시절 투니버스에 비하면 조금 모자르지만(리즈시절 투니버스는 비슷한 3~4쿨 분량의 탐정학원Q에 63명을 들이붓기도 했다!) 4쿨 작품인 걸 감안해도 어마어마한 수의 성우를 캐스팅한 것이다.
- [33] 그러나 주조연 캐스팅은 꽤 괞찮은 편이다.
- [34] 가오레인저 및 아바레인저는 제외. 이쪽은 각각 야마가타 유키오와 엔도 마사아키가 불렀다.
- [35] 허리케인저, 데카레인저, 마지레인저, 보우켄저, 고온저. 각각 순서는 타카토리 히데아키, 사이킥러버, 이와사키 타카후미, NoB, 타카하시 히데유키 순.
- [36] 일본판 끝 부분 가사가 '해적전대 고카이저'로 돼있다.
- [37] 블레이드포스, 닌자 스톰을 제외하면 TV판들이 다 정식으로 방영된적이 있는 작품들이다.
- [38] 다만 극장판인 199 히어로 대결전 더빙버젼에는 1절부터 3절까지 모두 번안되어있다.
- [39] 국내 비디오로 터보레인저가 들어왔을 때의 이름은 터보유격대로, 그때 OP 가사에 "쌩쌩쌩 자동차가 붕붕붕 달린다!"가 있었다(...)
- [40] 가오 라이온, 풍뢰환은 일종의 협력자 포지션이기 때문에 제외.
- [41] 개인 현상금은 카메라 앵글상 교묘하게 공개되지 않음. 수배명은 GOKAIGER.(네비는 수배대상이 아니므로 제외.하지만 44화 이후 단독적으로 50Z의 현상금이 달린다.
그래봐야 30만원) - [42] 캡틴 마벨러스의 현상금 금액. 덕분에 다른 멤버들의 현상금은 의미가 없어져버렸다.(...)
- [참고사항] 1Z=600엔(한국에선 6000원)으로 환산된다고 한다. 34화 참조
- [44] 원작자 명단에 이시노모리 쇼타로가 들어간 것은 그가 비밀전대 고레인저와 잭커 전격대의 원작자이기 때문이다. 이후의 작품은 모두 야츠데 사부로 원작.
- [45] 가면라이더 위자드의 서브 각본가
- [46] 수전전대 쿄류저에서는 쿄류 핑크 집안의 집사로 출연한다.
- [47] 당연히 성우 나카하라 마이와는 동명이인.
- [48] 가면라이더 더블의 스도 키리히코 역.
- [49] 김전일의 히로인 미유키 성우 그 분 맞다. 그러고 보니. 큐어 파인 한일 성우가 모두 캡틴포스에 참여하게 되었다. 한국판은 아임 드 파미유로. 원어판은 이 봄퍼로....
- [50] 특명전대 고버스터즈에서 모리시타 토오루 역.
- [51] 이 에피소드는 나레이션과 모바일럿폰의 성우를 맡고 있는 세키 토모카즈에게는 특별한 에피소드가 아닐까 싶다. 왜냐하면 오레인저의 진 최종보스 성우가 바로 세키 토모카즈였으니까!
- [52] 2대 발 이글
- [53] 없음이라고 된 것은 레인저키를 돌려받을 때 대사가 한 마디도 없기 때문에 자연히 게스트 성우도 없으므로 이렇게 표시했다. 원래는 서유리 성우.
- [54] TV판 시점으로 16~17화 사이의 내용.
- [55] G3 프린세스로 출연. 따라서 케가레시아도 출연했다.
악역은 게스트로 안 치는 건가 - [56] 오오바 켄지가 갸반과 함께 1인 3역으로 등장.
- [57] 본편 40화와 연동됨.
- [58] 일판/한국 더빙판 순. 구분이 없는 것은 일판과 한국판 둘다 같은 제목인 경우.
- [59] 평균 시청률 4.95%.
- [60] 마지레인저의 제목 형식. 해당 이야기에 나오는 주문이 들어간다.
- [61] 토호쿠 대지진으로 인하여 3월 13일은 결방.
- [62] 저지먼트는 데카레인저가 괴인을 쓰러트릴 때 구호. 참고로 데카레인저의 제목 형식은 영어 제목을 가타가나로 표기한 것이다.
- [63] 게키레인저의 에피소드 제목 형식.
- [64] 원문은 시시, 카케루(獅子、走る)로 가오 레드의 이름과 같은 발음인 것을 이용한 말장난식 제목이자 가오레인저의 에피소드 제목형식.
- [65] 잭커 전격대로 잭커는 JAKQ, 즉 트럼프다. 빅 원은 조커.
- [66] 진검은 일본어로 신켄이라고 발음, 즉 신켄저를 의미하는 것이다.
- [67] 격주전대 카레인저의 마지막 화 제목이 언제까지나 교통안전이다.
- [68] 격주전대 카레인저의 메인 각본가.
- [69] 6월 19일에 골프 방송으로 인해 휴방하여 6월 26일에 방영.
- [70] 폭룡전대 아바레인저의 에피소드 제목형식. 아바레인저의 에피소드 제목에는 '날뛰다(アバレ)'란 단어가 꼭 들어간다.
- [71] 구급전대 고고파이브의 구호 중 하나이다.
- [72] 그리고 구급전대 고고파이브는 슈퍼 전대 시리즈 23번째 작품이다.
- [73] 인풍전대 허리케인저의 에피소드 제목형식.(OO와 XX)
- [74] 허리켄저 오프닝 가사(휘리릭 등장). 참고로 허리케인저의 극장판 제목은 '휘리릭 THE MOVIE'.
- [75] 조인전대 제트맨의 메인 각본가.
- [76] 폭룡전대 아바레인저의 에피소드 제목형식.
- [77] 다이레인저의 제목형식.(~다!)
- [78] 일본어판에서는 한자와 가타카나로만 표기된 고온저의 제목 형식. 36화도 동일
- [79] 메가레인저의 제목형식.
- [80] 천장전대 고세이저 VS 신켄저 Epic on 은막과 연동됨.